선진뷰티사이언스 주식투자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선진뷰티사이언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0.
반응형

서론

선진뷰티사이언스는 글로벌 화장품 소재 ODM/OEM을 주력으로 하는 K-뷰티 대표 상장사입니다. 48년 업력의 화장품 소재 전문성, 미국 FDA 인증 공장, 50여 개국 수출, 글로벌 하이엔드 브랜드와의 협업 등으로 국내외에서 높은 신뢰도를 쌓아왔습니다. 2025년은 충남 장항 OTC(일반의약품) 전용 ODM 공장 가동, 미국·중국·유럽 수출 확대, B2C 브랜드 론칭 등 신사업이 본격화되는 원년입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화장품 소재 59% 65% 자외선 차단제, 마이크로비드, 스킨케어 등
플랫폼 비즈니스(ODM/OEM) 41% 35% ODM/OEM, 임상·처방·브랜드 개발 등
기타(신사업, B2C 등) 1% 미미 아이레시피 등 자체 브랜드, 신사업
 
  • 특징: 소재사업이 매출과 이익의 중심이며, 2025년부터 ODM/OEM 플랫폼 비즈니스 비중이 빠르게 확대될 전망입니다.
  • 수익성: 2024년 영업이익률 15.3% 내외, 소재사업 고마진 구조와 ODM 공장 가동 효과가 반영됩니다157.

각 사업의 전망

1. 화장품 소재

  • 시장성:
    • 자외선 차단제, 마이크로비드 등 글로벌 하이엔드 브랜드(샤넬, 로레알, 에르메스, 루이비통 등)에 공급26.
    • 미국 OTC(일반의약품) 시장 진출, FDA 인증 공장 보유로 MoCRA(미국 화장품규제 현대화법) 수혜.
    • 중국, 유럽 등 수출국 다변화, 2024년 수출 비중 85% 이상.
  • 경쟁력:
    • 국내 최초 FDA 인증, 친환경 소재 개발, 글로벌 OEM/ODM사와의 협업.
    • 한 번 채택된 소재는 장기간 매출 발생(고객사 교체 비용, 안전성 실험 등 진입장벽).
  • 전망:
    • 2025년 미국·중국 선케어 시장 성장, 신규 하이엔드 브랜드 SKU 확대, 고마진 소재 비중 상승.

2. 플랫폼 비즈니스(ODM/OEM)

  • 시장성:
    • 2025년 6월 OTC 전용 ODM 공장(장항, 연 600억 원 규모) 가동, 미국·중국·유럽 글로벌 브랜드 전용 생산.
    • 소재→처방→ODM→임상→브랜드로 이어지는 수직 통합 플랫폼 구축26.
  • 경쟁력:
    • 자체 임상센터, 신제품 개발 속도(경쟁사 대비 10분의 1 비용, 반년 내 개발), FDA OTC 인증 기반.
    • 이미 다수 글로벌 고객사 수주, 하반기 초도 납품 예정.
  • 전망:
    • 2025~2026년 ODM 매출 본격화, 미국 OTC 시장 성장과 함께 외형·수익성 동반 개선.

3. 기타(신사업, B2C 등)

  • 시장성:
    • 자체 브랜드 ‘아이레시피’ 론칭, 올리브영 등 국내 유통망 입점.
  • 전망:
    • B2C 매출은 아직 미미하나,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B2B 시너지 기대.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이성호 대표(33.88%) 외 특수관계인 포함 54.64% 지분 보유, 자사주 1.58%, 외국인 4.54%2.
  • 경영권 안정성: 가족경영 체제이나, 48년 업력·경영진 신뢰도 높음. 최근 오너리스크·비리·분쟁 이슈 없음.
  • 배당정책: 2023년 배당성향 8% 유지(주당 40원), 시가배당률 0.49%로 낮으나, 배당 확대 의지 표명.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4년 4분기 매출·이익 둔화(중국 재고조정, 내수 약세), 하반기부터 회복세1.
    • 공장 가동 초기 고정비 부담(감가상각, 인건비 등)으로 영업이익률 단기 하락 가능.
  • 글로벌 리스크:
    • 특정국가 의존도 낮으나, 글로벌 경기침체·정치적 불안·규제 변화 등 외부 변수37.
    • 미국·중국·유럽 등 주요 시장별 규제 변화에 따른 대응 필요.
  • 경쟁 심화:
    • K-뷰티 ODM사(한국콜마, 코스맥스 등)와의 PER 경쟁(동종업계 평균 14배, 선진뷰티사이언스 12배).
    • 인디 브랜드 성장, 소재 국산화 경쟁 등.
  • 주가 변동성:
    • 2024년 6월 고점(24,200원)→2025년 3월 9,850원(-59.3%), 거래량 감소, 투자심리 위축.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4~2025년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11.7~12배 14배 동종업계 대비 저평가, 성장 기대 반영17
PBR 1.3~1.5배 1.5배 자산가치 대비 적정~저평가 구간
ROE 12~13% 10% 업종 평균 상회, 수익성 개선 추세5
영업이익률 13.8~15.3% 10~12% 고마진 구조, ODM 본격화 시 추가 개선
매출 성장률 +13~20% 10% 내외 신공장 가동, 글로벌 수출 확대
수출비중 85% 이상 50% 내외 글로벌 브랜드 다변화, 특정국 리스크 낮음35
배당성향 8% 10% 내외 배당 확대 여력 존재
주가 9,850원(2025.3) - 52주 최고 24,200원, 최저 7,410원, 변동성 확대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ODM/OEM 신공장 가동·매출화 속도
    • 영업이익률·ROE 개선
    • 글로벌 수출 성장률
    • PER/PBR(저평가 여부)
    • 주요 브랜드 신규 채택·수주 확대
    • 중국·미국·유럽 등 시장별 성장률

도표: 선진뷰티사이언스 연간 실적 추이 및 전망

연도매출액(억원)영업이익(억원)영업이익률순이익(억원)PERPBRROE
2022 643 53 8.3% 19.6 13.2 1.51 12.4
2023 806 103 12.8% 85 11.7 1.35 12.1
2024E 972 135 13.8% 94 12.0 1.35 12.1
2025E 1,100 153 13.9% 110 12.0 1.35 13.0
 

결론

선진뷰티사이언스는 글로벌 화장품 소재 ODM/OEM 플랫폼의 동반 성장,
미국 OTC 시장 진출, FDA 인증, 글로벌 하이엔드 브랜드 수주 확대 등으로
2025년 이후 실적·수익성 개선과 주가 재평가가 기대되는 K-뷰티 대표 성장주입니다.
PER·PBR 모두 저평가 구간, ROE·영업이익률 업종 상위권이며,
ODM 신공장 가동, 글로벌 수출 성장, 주요 브랜드 신규 채택이 주가의 핵심 변수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공장 가동률·고정비 부담, 글로벌 경기·규제 변수에 주의해야 하며,
중장기적으로는 ODM 매출 본격화와 글로벌 브랜드 채택 확대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선진뷰티사이언스 #K뷰티 #화장품소재 #ODM #OEM #PER저평가 #PBR저평가 #영업이익률 #ROE #미국OTC #FDA인증 #글로벌수출 #하이엔드브랜드 #자외선차단제 #마이크로비드 #스킨케어 #플랫폼비즈니스 #아이레시피 #신사업 #배당정책 #경영권안정 #수출비중 #중국시장 #미국시장 #유럽시장 #신공장 #스마트팩토리 #고정비 #경쟁심화 #시장점유율 #글로벌브랜드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성장주 #주주가치 #B2C #B2B #투자전략 #석경이분석 #재무건전성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티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
DL이앤씨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
씨앤투스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
모비릭스 주식투자 분석  (1) 2025.04.20
핑거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