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모비릭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0.
서론
모비릭스는 모바일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을 주력으로 하는 코스닥 상장사로, 글로벌 하이퍼캐주얼 및 캐주얼 게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1년 상장 이후, 글로벌 다운로드 5억 건 돌파 등 외형 성장은 이어졌으나, 2023~2024년에는 시장 경쟁 심화와 실적 부진, 영업적자 전환 등으로 투자자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모비릭스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영업이익 비중주요 내용
게임 퍼블리싱 |
85% |
90% |
자체 개발·외부 개발 모바일 게임 글로벌 퍼블리싱 |
광고 및 기타 |
15% |
10% |
인앱 광고, IP 라이선스, 기타 서비스 |
- 특징: 퍼블리싱 사업이 매출과 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광고 및 기타 부문은 인앱 광고, IP 라이선스 등으로 보조적 수익원 역할을 합니다.
- 수익성: 2021년까지는 영업이익률 20% 내외의 고수익 구조였으나, 2023년 이후 적자 전환(2023년 순이익 -68억, 2024년 3분기 순이익 -72억)으로 수익성 악화가 두드러집니다1.
각 사업의 전망
1. 게임 퍼블리싱
- 시장성:
- 글로벌 하이퍼캐주얼·캐주얼 게임 시장은 연평균 8~10% 성장 전망이나, 경쟁 심화와 마케팅 비용 급증으로 수익성은 저하.
- 구글·애플 정책 변화, 광고 단가 하락, 사용자 확보 비용 증가 등 구조적 변화에 직면.
- 경쟁력:
- 자체 개발력(퍼즐·보드·아케이드 등), 글로벌 퍼블리싱 네트워크, 5억 다운로드 등 브랜드 인지도.
- 전망:
- 2025년 신작 라인업 확장, 인앱 결제 강화, 광고 수익 다변화 시도.
- 단기적으로는 실적 반등보다 구조조정·비용 효율화가 관건.
2. 광고 및 기타
- 시장성:
- 인앱 광고 시장 성장세는 유지되나, 단가 하락·글로벌 빅테크 정책 변화로 수익성 압박.
- 전망:
- 신규 광고 플랫폼 도입, 데이터 기반 타깃팅 강화, IP 라이선스 확대 등으로 보조 수익원 다변화 추진.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창업주 중심의 경영, 특수관계인 지분 30% 내외로 경영권 안정성은 높으나, 의사결정 집중 구조.
- 경영진 신뢰도: 2023~2024년 실적 부진, 신작 부재, 비용 통제 실패 등으로 경영진 신뢰도 하락.
기타 리스크
- 실적 부진:
- 2023년 매출 434억 원, 순이익 -68억 원, 2024년 3분기 순이익 -72억 원으로 2년 연속 적자1.
- 영업이익률·순이익률 모두 마이너스 전환.
- 경쟁 심화: 글로벌 하이퍼캐주얼·캐주얼 게임 시장 경쟁 심화, 대형 퍼블리셔 및 인디 개발사와의 경쟁 격화.
- 마케팅 비용 부담: 사용자 확보 비용(UA) 급증, 광고 단가 하락으로 수익성 악화.
- 신작 리스크: 2024~2025년 신작 라인업 성과가 실적 반등의 핵심 변수.
- 환율·글로벌 변수: 해외 매출 비중 80% 이상, 환율 변동·글로벌 정책 변화에 민감.
- 주가 변동성: 2021년 상장 후 36,400원(최고가) → 2024년 4,400원(최저가)까지 급락, 최근 9,000원대 박스권1.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4~2025)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N/A(적자) |
20~30배 |
2년 연속 적자, 밸류에이션 불가 |
PBR |
0.67~1.41배 |
1.5~2.5배 |
자산 대비 저평가 구간 |
ROE |
-7.1%~ -8.5% |
5~10% |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 적자 지속 |
영업이익률 |
-15% 내외 |
10~15% |
업종 평균 대비 낮은 수익성 |
매출 성장률 |
-10% 내외 |
5~10% |
성장 정체, 신작 성과 미비 |
주가 |
9,240원(2024.9) |
- |
52주 최고 13,760원, 최저 4,400원, 변동성 확대1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신작 게임 출시 및 흥행 성과
- 영업이익률·순이익률 개선
- 마케팅 비용 효율화
- PBR(저평가 여부)
- 외국인·기관 수급
- 글로벌 시장 매출 성장률
도표: 모비릭스 최근 5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순이익률PERPBRROE
2020 |
589 |
110 |
98 |
18.7% |
16.6% |
33.6 |
4.60 |
21.5 |
2021 |
717 |
120 |
119 |
16.7% |
16.6% |
15.7 |
2.14 |
16.6 |
2022 |
621 |
36 |
42 |
5.8% |
6.8% |
43.0 |
3.20 |
7.1 |
2023 |
434 |
-42 |
-68 |
-9.7% |
-15.7% |
N/A |
1.41 |
-7.1 |
2024E |
420 |
-40 |
-72 |
-9.5% |
-17.1% |
N/A |
0.67 |
-8.5 |
결론
모비릭스는 글로벌 모바일 게임 퍼블리싱 역량과 자체 개발력, 5억 다운로드 등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2023~2024년 실적 부진, 2년 연속 적자, 마케팅 비용 부담, 신작 부재, 경쟁 심화 등 구조적 리스크가 큽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변수는 신작 게임 출시 및 흥행, 영업이익률·순이익률 개선, 마케팅 비용 효율화, PBR(저평가 여부), 글로벌 매출 성장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비용 구조 개선과 신작 성과,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와 수익성 회복이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모비릭스 #모바일게임 #퍼블리싱 #PER적자 #PBR저평가 #영업이익률 #적자지속 #신작게임 #마케팅비용 #글로벌시장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경쟁심화 #수익성개선 #다운로드 #하이퍼캐주얼 #캐주얼게임 #게임주 #실적부진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비용효율화 #성장정체 #경영진신뢰 #오너리스크 #지배구조 #환율리스크 #글로벌정책 #시장점유율 #신작라인업 #IP라이선스 #인앱광고 #플랫폼정책 #구글애플 #유저확보 #UA비용 #주가변동성 #테마주 #사업다각화 #주주가치 #투자전략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