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뷰노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8.
서론
뷰노는 AI 기반 의료 진단·예측 솔루션을 개발하는 대표적인 국내 헬스케어 테크 기업입니다. 최근 2년간 매출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국내 의료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지만, 아직 영업적자 기조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고, 해외 진출과 재무구조 개선, 경쟁 심화 등 다양한 리스크도 상존합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뷰노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예후/예측 솔루션(딥카스) |
84~95% |
90% 이상 |
심정지 예측 AI 솔루션, 국내 병원 공급 중심 |
진단 솔루션 |
2~5% |
5% 미만 |
영상의학, 병리 등 AI 진단 소프트웨어 |
기타(구독형 서비스 등) |
3~10% |
5% 미만 |
구독형 SaaS, 기술 서비스 등 |
- 특징: 2024년 기준 딥카스(DeepCARS)가 매출의 84~95%를 차지하며, 진단 솔루션 및 기타 매출은 미미한 수준입니다.
- 수익성: 매출 급증에도 불구하고 고정비(인건비, R&D, 수수료 등) 중심의 비용 구조로 영업적자 지속. 2024년 영업손실 약 124억 원, 전년 대비 21% 개선.
각 사업의 전망
1. 예후/예측 솔루션(딥카스)
- 시장성:
- 국내 병원 110여 곳, 4.5만 병상에 공급(2025년 150곳 목표).
- 국내 심정지 예측 AI 시장 1위, 비급여 신의료기술평가 유예 연장(2027년 7월까지)로 성장 모멘텀 유지.
- 미국 FDA 승인, 보험수가(NTAP) 획득 시 2026년부터 미국 매출 본격화 기대.
- 경쟁력:
- 국내 병원 도입 확대, 구독형 서비스 모델 도입으로 반복 매출 구조 강화.
- AI 기술 고도화 및 특허(300건 이상) 확보.
- 전망:
- 2025년 연간 매출 259억 원(전년 대비 95%↑), 2026년 미국 매출 개화 시 외형 성장 가속.
2. 진단 솔루션(영상·병리 등)
- 시장성:
- 영상의학·병리 AI 솔루션 시장은 글로벌 연평균 20% 이상 성장.
- 국내외 대형 병원, 공공기관 등 도입 논의 확대.
- 경쟁력:
- 전망:
- 2025년 이후 미국·유럽 진출, 하티브(Hativ) 등 신제품 출시로 매출 다변화 기대.
3. 기타(구독형 서비스 등)
- 시장성:
- 구독형 SaaS, 클라우드 기반 의료 AI 서비스 시장 성장.
- 전망:
- 반복 매출 구조 강화, 해외 SaaS 시장 진출 가능성.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창업주 이예하 대표 중심의 경영, 특이한 오너리스크·경영권 분쟁 이슈는 없음.
- 경영진 신뢰도: 주주 친화적 태도 긍정 평가와, 일부 주식 매도 논란 등으로 신뢰도 혼재.
기타 리스크
- 재무 리스크:
- 2023년 부채비율 329%였으나, 2024년 영구전환사채(영구CB) 2회 발행(총 341억 원)으로 자본총계 313억 원, 부채비율 60%대로 대폭 개선710.
- 관리종목 지정(자기자본 대비 법차손 50% 초과) 리스크 해소.
- 사업 리스크:
- 매출의 95% 이상이 국내 딥카스에 집중, 해외 매출은 미미.
- 미국 FDA 승인, 보험수가 획득 등 해외 진출 일정 지연 시 성장 정체 우려.
- 국내 의료 파업, 병상 수 감소 등 외부 변수에 민감.
- 경쟁 심화:
- 루닛, 프로메디우스 등 경쟁사 대비 시장 점유율 확대 속도 느림.
- AI 의료기술 시장 경쟁 격화, 기술 우위 유지 필요.
- 비용 구조:
- 고정비(인건비, R&D, 수수료) 비중 70% 이상, 매출 증가 시 영업레버리지 효과 기대.
- 주가 변동성:
- 외국인·기관 매도세, 52주 최고가 39,700원, 최저가 17,920원, 최근 2만 원대 박스권.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4~2025)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적자(연내 흑자 기대) |
20~40배 |
2025년 BEP, 2026년 본격 흑자 전망 |
PBR |
5.0~8.0배 |
2.0~4.0배 |
업종 평균 대비 고평가, 성장 프리미엄 반영 |
ROE |
-20.1% |
5~10% |
적자 지속, 흑자 전환 시 급격한 개선 기대 |
영업이익률 |
-48% (2024) |
-10~10% |
적자 지속, 매출 증가 시 레버리지 효과 |
매출액 |
259억(2024) |
500~1,000억 |
업종 내 중상위권, 2025년 400억 목표 |
부채비율 |
60% |
80~100% |
재무 안정성 개선, CB 자본화 효과 |
주가 |
18,160~26,250원(2025.4) |
- |
1년간 박스권, 변동성 확대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딥카스 매출 성장률·병원 도입 확대
- 영업이익률·흑자전환 시점
- FDA 승인·보험수가 등 해외 진출 일정
- PBR(고평가 논란)
- 경쟁사 대비 점유율·기술력
- 외국인·기관 수급
- 재무구조(부채비율·자본총계)
도표: 뷰노 연간 실적 추이 및 전망 (단위: 억원)
연도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영업이익률부채비율자본총계
2022 |
83 |
-157 |
-160 |
-189% |
329% |
61.7 |
2023 |
133 |
-157 |
-158 |
-118% |
329% |
61.7 |
2024E |
259 |
-124 |
-130 |
-48% |
60% |
313 |
2025F |
400 |
0~30 |
0~25 |
0~8% |
55% |
340 |
결론
뷰노는 딥카스 중심의 매출 급증과 고정비 구조 개선, 영구CB 발행을 통한 재무구조 안정화로 2025년 연내 흑자전환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FDA 승인, 미국 보험수가 획득 등 해외 진출이 본격화되면 2026년 이후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기대됩니다.
다만, 국내 매출 집중, 경쟁 심화, 비용 구조, 고평가 논란, 해외 진출 일정 지연 리스크 등은 투자 판단 시 반드시 감안해야 할 요소입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핵심 변수는 딥카스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흑자전환, FDA 승인 등 해외 진출 일정, 경쟁사 대비 기술력, 재무구조입니다.
태그
#뷰노 #딥카스 #AI의료솔루션 #PER적자 #PBR고평가 #영업이익률 #흑자전환 #FDA승인 #미국진출 #구독형서비스 #병원도입 #SaaS #재무구조 #영구CB #부채비율 #성장주 #주가전망 #경쟁심화 #루닛 #프로메디우스 #기술특례상장 #외국인매도 #기관매도 #박스권 #의료AI #비급여 #보험수가 #신의료기술 #주가연관지표 #매출성장 #레버리지효과 #자본총계 #관리종목 #시장점유율 #특허 #R&D #주주친화 #경영진신뢰 #해외시장확대 #성장성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