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싸이버원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8.
서론
싸이버원(356890)은 보안관제, 보안컨설팅, 스마트시스템, 보안솔루션 등 정보보안 전반을 아우르는 기업으로, 2024년 기록적인 실적 개선과 함께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하반기 인수한 엑스큐어넷의 실적이 본격 반영되며, 외형 및 이익이 대폭 성장했습니다. 최근 AI·스마트시스템 등 신사업 다각화와 글로벌 보안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중장기 성장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싸이버원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보안관제/컨설팅(용역) |
81.1% |
약 50% |
보안관제, 컨설팅, 클라우드, 스마트시스템 등 |
보안솔루션(제품) |
17.2% |
약 45% |
엑스큐어넷 등 AI 기반 보안솔루션, 제품매출 |
기타(상품 등) |
1.7% |
5% 미만 |
RFID, 스마트카드 등 물리보안 상품 |
- 특징: 2023년까지는 용역(관제·컨설팅) 매출이 90% 이상이었으나, 2024년 엑스큐어넷 인수로 솔루션(제품) 매출 비중이 3배 이상 증가하며 수익구조가 다변화되었습니다.
- 수익성: 2024년 영업이익 113억(전년비 788%↑), 당기순이익 122억(401%↑), 영업이익률 23.7%로 대폭 개선.
각 사업의 전망
1. 보안관제/컨설팅(용역)
- 시장성: 국내외 정보보안 시장 연평균 10% 이상 성장, 클라우드·AI·OT(운영기술) 보안 수요 급증.
- 경쟁력:
- 설립 초기부터 관제·컨설팅 노하우, 대형 금융·공공기관 고객 다수.
- 스마트시스템(출입통제, RFID 등)과 연계한 융합보안 서비스 제공.
- 전망:
- AI 기반 위협탐지, 클라우드 보안관제 등 신사업 확대.
- 기존 용역 중심에서 솔루션·제품 비중 확대.
2. 보안솔루션(제품)
- 시장성: AI·클라우드 기반 보안솔루션 시장 연평균 15% 이상 성장.
- 경쟁력:
- 엑스큐어넷 인수(2023년 8월)로 AI 기반 내부정보유출 차단 등 솔루션 포트폴리오 강화.
- 엑스큐어넷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 70억, 영업이익 23억(싸이버원 연결 영업이익의 82% 기여).
- 전망:
- 2025년 제품 매출 비중 20% 돌파, 솔루션 중심 고수익 구조 전환.
- AI·클라우드·스마트시스템 등 신사업과 시너지 확대.
3. 기타(스마트시스템 등)
- 시장성: 물리보안(출입통제, 영상감시 등)과 IT보안 융합 시장 성장.
- 전망: RFID, 스마트카드 등 신규 상품 매출 확대, 융합보안 서비스 고도화.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2024년 기준 특별한 오너리스크나 경영권 분쟁 이슈는 부각되지 않음.
- 경영진: 엑스큐어넷 인수 등 적극적 M&A와 사업 다각화 전략, 경영진 신뢰도 양호.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3년까지는 관제·컨설팅 중심 저수익 구조, 2024년 엑스큐어넷 효과로 고수익 전환.
- 향후 솔루션 사업 성장세 지속 여부가 관건.
- 시장 경쟁: SK쉴더스, 안랩, 시큐아이 등 대형 보안업체와 경쟁, AI·클라우드 보안 시장 진입장벽 높음.
- 기술 변화: AI·클라우드·OT 보안 등 신기술 대응력 필요.
- 외형 성장 한계: 용역 사업 중심 성장 한계, 솔루션·제품화 성공 여부가 중장기 성장의 핵심.
- 주가 변동성: 2025년 2월 상한가 등 급등락, 외국인·기관 매수세 유입.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4)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10.3배 |
15~20배 |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성장 기대 반영 |
PBR |
2.1배 |
2.5배 |
자산가치 대비 합리적 평가 |
ROE |
20.1% |
10~15% |
업종 상위권, 수익성 급등 |
영업이익률 |
23.7% |
10~15% |
업종 최고 수준, 솔루션 효과 |
부채비율 |
21.5% |
40~60% |
재무 안정성 우수 |
매출액 |
478억 |
1,000억 |
업종 내 중상위권, 외형 성장세 |
순이익 |
122억 |
50~100억 |
업종 평균 상회, 실적 급증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솔루션(제품) 매출 성장률
- 영업이익률·ROE
- PER·PBR(저평가 여부)
- AI·클라우드 보안 신사업 실적
- 외국인·기관 수급
- 시장 경쟁·기술 변화 대응력
도표: 싸이버원 사업별 매출/영업이익 비중(2024년 기준)
사업부문매출 비중영업이익 비중주요 서비스/제품
보안관제/컨설팅 |
81.1% |
50% |
관제, 컨설팅, 클라우드 |
보안솔루션(제품) |
17.2% |
45% |
엑스큐어넷, AI보안솔루션 |
기타(상품 등) |
1.7% |
5% 미만 |
RFID, 스마트카드 |
결론
싸이버원은 2024년 엑스큐어넷 인수를 계기로 저수익 용역 중심 구조에서 고수익 솔루션 중심 구조로 전환에 성공하며,
영업이익률·ROE·순이익 등 수익성 지표가 업계 최고 수준으로 급등했습니다.
AI·클라우드·스마트시스템 등 신사업 다각화와 글로벌 보안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중장기 성장성도 높습니다.
PER·PBR 모두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구간이며,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변수는 솔루션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ROE, AI·클라우드 신사업, 외국인·기관 수급, 시장 경쟁 대응력입니다.
태그
#싸이버원 #정보보안 #보안관제 #보안컨설팅 #보안솔루션 #엑스큐어넷 #AI보안 #클라우드보안 #PER저평가 #PBR #ROE #영업이익률 #신사업 #시장경쟁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스마트시스템 #RFID #융합보안 #재무안정성 #부채비율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수익성개선 #제품매출 #솔루션사업 #관제서비스 #클라우드 #AI #성장주 #실적급증 #주가급등 #주가변동성 #신기술 #시장점유율 #기술경쟁력 #M&A #사업다각화 #주주가치 #투자전략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