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플러스 주식투자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엑스플러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8.
반응형

서론

엑스플러스는 IT 솔루션 및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그리고 최근 광산업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입니다. 한때 하인크코리아로 상장(스팩 합병)했다가 2024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최근에는 최대주주 변경, 대규모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 발행, 사업 정관변경 등으로 경영 구조에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엑스플러스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3~2024)영업이익 비중(2023~2024)주요 내용
IT 솔루션/소프트웨어 약 60% 약 60% 클라우드, AI, SaaS 등 IT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약 25% 약 30% B2B/B2C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기타(광산업 등) 약 15% 약 10% 산업 다각화, 신규 진출 분야
 
  • 특징: IT 솔루션과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가 매출과 이익의 핵심입니다. 최근 광산업 등 신규 사업 진출이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 본격적인 매출 기여도는 제한적입니다.
  • 수익성: 2023년 기준 영업이익률 16%로 양호했으나, 2024년에는 적자 전환(-0.47% → -37.88% → -37.32% → -79.73% → 1.25%로 분기별 변동성이 매우 큼)14.

각 사업의 전망

1. IT 솔루션/소프트웨어

  • 시장성: 클라우드, AI, 빅데이터 등 IT 서비스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 성장세.
  • 경쟁력: R&D 투자와 혁신적인 제품 출시로 시장 점유율 확대.
  • 전망: 북미·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해외 매출 비중 증가 추세25.
  • 리스크: 경쟁 심화, 기술 트렌드 변화에 따른 지속적 투자 부담.

2. 클라우드 서비스

  • 시장성: B2B/B2C 클라우드 수요 증가, 데이터 관리·보안 서비스 확대.
  • 경쟁력: 자체 플랫폼 및 파트너십 기반 서비스 확장.
  • 전망: 고객사 다변화,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로 매출 성장 기대.
  • 리스크: 대형 IT기업과의 경쟁, 원가 상승 등 수익성 압박.

3. 기타(광산업 등 신사업)

  • 시장성: 광산업 등 신규 진출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
  • 전망: 정관변경, 신규 투자 등으로 사업 다각화 및 성장 모멘텀 확보 시도3.
  • 리스크: 신사업 상업화 불확실성, 투자금 회수 지연, 자본잠식 리스크.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최대주주 변경: 2023~2025년 사이 최대주주가 여러 차례 변경. 엑스페릭스 → 킹다비드투자조합 등 → 팀플래닝 → 오라클투자목적조합 등으로 잦은 변동3.
  • 경영권 불안정: 주식 양수도,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등으로 경영권이 수차례 바뀌며, 주주 신뢰도 저하.
  • 지배구조 불확실성: 주식 양수도 계약 잔금 납입 지연, 유증 대상자 변경 등으로 최대주주가 수차례 바뀌는 혼란3.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2024년 분기별 영업이익률이 -79%까지 급락하는 등 실적 변동성이 매우 큼14.
  • 자본잠식: 부분 자본잠식 상태, 유상증자·전환사채로 자금 조달 중이나, 재무 안정성에 대한 우려 상존3.
  • 오버행(전환사채) 리스크: 대규모 CB 발행으로 주가 희석 가능성, 투자심리 위축.
  • 시장 경쟁: IT·클라우드·AI 등 주요 사업 분야에서 대형 기업과의 경쟁 심화.
  • 외부 변수: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금리 인상, 원자재 가격 변동 등 외부 충격에 민감.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4~2025)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N/A(적자) 10~20배 2024년 적자 지속, 밸류에이션 불가
PBR 4.67~13.99배 1.5~3배 업종 평균 대비 고평가 구간, 자본잠식 영향
ROE -57%~-106% 5~10%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 적자 지속
영업이익률 -0.47~1.25% 5~10% 2023년 흑자, 2024년 적자 전환, 변동성 큼
부채비율 N/A 50~100% 자본잠식 영향, 유상증자·CB로 개선 시도
매출액 500억(2023) 500~2,000억 업종 내 중위권, 성장세 유지
주가 1,788원(2025.4) - 1년간 1,000~3,000원 등락, 변동성 확대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최대주주 변경·경영권 안정성
    • 영업이익률·실적 개선 여부
    • 오버행(CB) 리스크
    • 신사업(광산업 등) 상업화 속도
    • PBR(자본잠식 영향)
    • 외부 변수(금리·환율 등)

도표: 엑스플러스 최근 5개 분기 영업이익률 추이

분기영업이익률(%)
2023.1Q -0.47
2023.2Q -37.88
2023.3Q -37.32
2023.4Q -79.73
2024.1Q 1.25
 

결론

엑스플러스는 IT 솔루션·클라우드 서비스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해왔으나,
2023~2025년 최대주주 변경·경영권 불안정, 자본잠식, 오버행 리스크 등 구조적 위험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신사업(광산업 등) 상업화, 글로벌 시장 진출, R&D 투자 등 성장 모멘텀은 분명하지만,
실적 변동성, 경영권 안정, 자본구조 개선, CB 오버행 해소가 향후 주가의 핵심 변수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경영권 안정과 실적 회복, 중장기적으로는 신사업 성과와 재무구조 개선이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엑스플러스 #IT솔루션 #클라우드서비스 #광산업 #PER적자 #PBR고평가 #경영권불안 #최대주주변경 #자본잠식 #오버행 #CB #영업이익률 #실적변동성 #주가전망 #성장주 #신사업 #재무구조 #유상증자 #전환사채 #글로벌진출 #R&D #시장경쟁 #주가연관지표 #경영안정 #주주가치 #자본확충 #파트너십 #매출성장 #재무건전성 #신사업상업화 #외부변수 #금리인상 #환율 #원자재가격 #기관투자 #주가변동성 #투자전략 #분기실적 #사업다각화 #지배구조 #시장리스크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엔에이치테크(239890) 주식투자 분석  (1) 2025.04.19
유일에너테크 주식투자 분석  (1) 2025.04.18
뷰노 주식투자 분석  (0) 2025.04.18
나노씨엠에스 주식투자 분석  (1) 2025.04.18
싸이버원 주식투자 분석  (1)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