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쎌: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본문 바로가기
투자

레이저쎌: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by 노력파 석경이 2025. 3. 30.
반응형

레이저쎌은 면광원 레이저(Area Laser) 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에 활용되는 본딩 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022년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LSR(Laser Selective Reflow)**와 **BSOM(Bonding Solution Optical Module)**이 있으며, 특히 LSR 장비는 100x100mm 이상 대면적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본딩 공정을 지원합니다. 이 글에서는 레이저쎌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레이저쎌은 주로 LSR BSOM을 통해 매출을 창출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LSR 장비가 전체 매출의 약 84%를 차지합니다. BSOM 및 기타 제품은 나머지 16%를 차지합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LSR

  • LSR는 레이저쎌의 핵심 사업으로, 100x100mm 이상 대면적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본딩 공정을 지원하는 장비입니다.
  • 2025년 LSR 매출은 전년 대비 약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기존 고객과의 장기 계약 확대와 신규 고객 확보 덕분입니다.
  • 특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수요 증가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BSOM 및 기타

  • BSOM은 점광원 레이저 빔을 면으로 변환하는 정밀 광학 모듈로, 2025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는 기존 고객과의 협력 강화와 신규 고객 확보 덕분입니다.

사업 다각화

  • 레이저쎌은 반도체 외 산업으로의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Probe Card와 Mini LED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025년부터는 Probe Card 및 Mini LED 디스플레이 장비의 초기 매출 발생이 예상되며, 이는 안정적인 수익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레이저쎌의 경영진은 연구개발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다만,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1.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2. 기술 변화 리스크:
    • 반도체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며,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3. 규제 변화 리스크:
    • 반도체 관련 규제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적자로 인해 산정되지 않으며, 흑자 전환 시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2025년 영업이익 흑자 전환 시 PER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1.03배로 자산 대비 저평가 상태이며, 이는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매출 성장률

  •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24% 감소한 6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반도체 장비 수요 감소 덕분입니다.
  • 2024년 매출액은 약 78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LSR 매출 증가와 BSOM 매출 확대 덕분입니다.
  • 2025년 매출액은 약 10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Probe Card 및 Mini LED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 본격화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적자를 기록 중이나 2025년 흑자 전환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결론: 레이저쎌 투자 포인트

레이저쎌은 LSR와 BSOM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특히 LSR 장비의 기술적 우위가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사 의존도와 시장 경쟁 심화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재무 개선 이후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레이저쎌 #LSR시장확장 #BSOM시장확장 #반도체장비시장확장 #디스플레이장비시장확장 #PER적정기업 #PBR적정기업 #반도체장비 #시장경쟁심화 #기술변화리스크 #규제변화리스크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