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한퓨얼셀: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본문 바로가기
투자

범한퓨얼셀: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by 노력파 석경이 2025. 3. 30.
반응형

범한퓨얼셀은 수소 연료전지  액화수소충전소 설치를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019년 설립되어 2022년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잠수함용 연료전지 건물용 연료전지, 그리고 수소충전소가 있으며, 특히 잠수함용 연료전지의 국산화와 해외 수출이 중장기적으로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글에서는 범한퓨얼셀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범한퓨얼셀은 주로 잠수함용 연료전지 수소충전소를 통해 매출을 창출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연료전지가 전체 매출의 약 54.6%를 차지하고, 수소충전소가 45.4%를 차지합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잠수함용 연료전지

  • 잠수함용 연료전지는 범한퓨얼셀의 핵심 사업으로, 2018년부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 III급 잠수함에 탑재되며, 이는 안정적인 수요를 제공합니다.
  • 2025년부터는 잠수함용 연료전지의 국산화와 해외 수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안정적인 수익원을 제공할 것입니다.
  • 특히, 잠수함용 연료전지는 독일 지멘스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장보고 II급 잠수함에 탑재된 독일산 연료전지를 국산화하여 교체할 계획입니다.

수소충전소

  • 수소충전소는 범한퓨얼셀의 주요 사업으로, 2023년부터 수소버스 및 대형 화물차 등 상용차용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을 착수하고 있습니다.
  • 이는 정부의 수소 경제와 관련된 정책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특히, 2025년 액화수소충전소 수주 여부가 단기 매출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신제품 개발

  • 범한퓨얼셀은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특히, 고온 및 저온에서 작동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여 해양 및 특정 환경에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범한퓨얼셀의 경영진은 연구개발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다만,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1.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2. 기술 변화 리스크:
    • 연료전지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며,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3. 규제 변화 리스크:
    • 연료전지 및 수소충전소 관련 규제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약 316배로 높게 평가되며, 이는 흑자 전환 이후의 재평가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 2025년 영업이익 흑자 전환 시 PER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1.29배로 자산 대비 저평가 상태이며, 이는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매출 성장률

  •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31.3% 증가한 665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연료전지 및 수소충전소 매출 증가 덕분입니다.
  • 2024년 매출액은 약 36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잠수함용 연료전지와 수소충전소의 매출 확대 덕분입니다.
  • 2025년 매출액은 약 45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수소충전소 및 연료전지의 매출 확대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적자를 기록 중이나 2025년 흑자 전환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결론: 범한퓨얼셀 투자 포인트

범한퓨얼셀은 잠수함용 연료전지와 수소충전소 사업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특히 잠수함용 연료전지의 국산화와 해외 수출이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사 의존도와 시장 경쟁 심화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재무 개선 이후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범한퓨얼셀 #잠수함용연료전지 #수소충전소 #PER적정기업 #PBR적정기업 #연료전지 #수소경제 #시장경쟁심화 #기술변화리스크 #규제변화리스크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