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1.
서론
프리시젼바이오는 체외진단(IVD) 전문기업으로, 임상화학·면역진단·동물진단 등 다양한 진단기기와 카트리지를 개발·생산합니다. 2024년 광동제약이 최대주주로 등극하며 자본력과 유통망을 확보, 글로벌 시장 확장과 신사업(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디지털 치료제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까지 실적 부진, 적자 지속, 현금흐름 악화 등 투자 리스크도 상존합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프리시젼바이오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임상화학 진단 |
60% |
65% |
사람용·동물용 진단기기·카트리지, 미국·유럽·아시아 수출 |
면역진단 |
25% |
25% |
호르몬·암·감염 등 신제품, 뇌졸중 진단 등 |
기타(신사업 등) |
15% |
10% |
디지털 치료제, 맞춤형 헬스케어, 신성장동력 |
- 특징: 임상화학 진단이 이익의 중심이며, 면역진단 신제품과 신사업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됩니다.
- 수익성: 2024년 4분기 매출 51억(+22% YoY), 영업이익 –9.1억(적자 지속), 영업이익률 –18%, 순이익 –16.5억(적자 지속)68.
각 사업의 전망
1. 임상화학 진단
- 시장성:
- 미국·유럽·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세 지속.
- 2023년 미국 시장 본격 진출, 연내 검사기 1,200대·카트리지 30만개 이상 수출 목표2.
- 경쟁력:
- 2022년 제2공장 건설, 생산능력 확대.
- 동물용·사람용 제품 모두 글로벌 인증 및 판매망 확보.
- 전망:
- 2025년 북미·유럽 시장 확대, 광동제약 유통망 활용한 내수·해외 동시 성장 기대.
2. 면역진단
- 시장성:
- 호르몬, 암, 감염 등 고부가 신제품 확대.
- 뇌졸중 진단 제품 임상 완료, 허가용 임상 및 상업화 착수2.
- 전망:
- 2025년 신제품 출시, 고마진 면역진단 매출 비중 확대.
3. 기타(신사업 등)
- 시장성:
- 디지털 치료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등 신사업 본격화.
- 광동제약과의 협력으로 신성장동력 확보.
- 전망:
- 2025년 이후 신사업 매출 기여도 점진적 확대, 수익성 개선 기대.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최대주주 변경:
- 2024년 10월 광동제약이 아이센스 외 3인 지분 29.7% 인수, 최대주주 등극37.
- 광동제약 인사 4명 신규 선임, 경영권 안정성 및 자본력 강화.
- 경영진 리스크:
- 기존 경영진 교체, 전략적 확장 기대.
- 오너리스크는 현저히 낮아졌으나, 경영방향 전환에 따른 조직 적응 필요.
기타 리스크
- 실적 부진:
- 2023년 매출 204억(–0.3% YoY), 영업손실 48억(적자 확대), 순이익 –68억3458.
- 2024년 4분기 매출 51억(+22% YoY), 영업이익 –9.1억(적자 지속)6.
- 현금흐름 악화:
- 2024년 상반기 현금성자산 56억, 유동자산 175억, 판매관리비 125억으로 현금난 우려3.
- 고정비 부담:
- 판관비 증가, 신제품 R&D·설비 투자 지속.
- 경쟁 심화:
-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내 다국적 대형사와 경쟁, 가격·기술 경쟁력 필요.
- 주가 변동성:
- 2024년 52주 최고 5,970원, 최저 2,650원, 최근 4,000~5,500원대 박스권137.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4년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N/A(적자) |
20~30배 |
3년 연속 적자, 밸류에이션 불가1 |
PBR |
1.2~2.7배 |
1.5~2.0배 |
업종 평균 수준, 성장 기대 반영1 |
ROE |
–15~–30% |
–5% |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 적자 지속1 |
영업이익률 |
–18% |
5~10% |
구조적 적자, 고정비 부담68 |
매출 성장률 |
+22% |
10% 내외 |
2024년 4Q 기준, 신제품·해외 수출 효과6 |
주가 |
4,420~5,490원 |
- |
광동제약 인수 후 변동성 확대37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임상화학·면역진단 신제품 매출 성장률
- 영업이익률·ROE 개선(적자 탈피)
- 최대주주(광동제약) 시너지 효과
- 현금흐름·고정비 관리
- 외국인·기관 수급
- 신사업(디지털 치료제 등) 상업화
도표: 프리시젼바이오 최근 5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
2020 |
87 |
–34 |
–51 |
–39.1% |
N/A |
10.4 |
– |
2021 |
159 |
–58 |
–37 |
–36.5% |
N/A |
7.3 |
– |
2022 |
205 |
–45 |
–68 |
–22.0% |
N/A |
3.9 |
– |
2023 |
204 |
–48 |
–68 |
–23.5% |
N/A |
2.5 |
–15.0 |
2024E |
225 |
–30 |
–40 |
–13.3% |
N/A |
1.7 |
–10.0 |
결론
프리시젼바이오는 임상화학·면역진단 신제품 성장, 광동제약 인수로 인한 자본력·유통망 확보, 신사업 진출 등으로
2025년 이후 실적 반등과 흑자전환 기대감이 높아진 체외진단 대표 성장주입니다.
3년 연속 적자, 고정비 부담, 현금흐름 악화, 경쟁 심화 등 단기 리스크는 크지만,
임상화학·면역진단 신제품 매출 성장, 영업이익률·ROE 개선, 광동제약 시너지, 신사업 상업화가 주가의 핵심 변수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정상화와 고정비 관리,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 확대와 신사업 상업화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프리시젼바이오 #체외진단 #IVD #임상화학 #면역진단 #PER적자 #PBR #영업이익률 #ROE #광동제약 #최대주주변경 #신사업 #디지털치료제 #헬스케어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적자지속 #실적반등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유통망 #판관비 #고정비 #신제품 #글로벌수출 #북미시장 #유럽시장 #성장주 #투자전략 #석경이분석 #경쟁심화 #현금흐름 #R&D #자본확충 #경영진교체 #사업다각화 #매출성장 #주주가치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