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츠웨이스튜디오 주식투자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블리츠웨이스튜디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0.
반응형

서론

블리츠웨이스튜디오는 피규어 제조·유통을 기반으로, 최근 콘텐츠(드라마·엔터테인먼트) 제작 글로벌 IP 사업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입니다. 한때 글로벌 피규어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했으나, 2022~2025년 연속 적자와 부채 증가, 대규모 자금조달 등 재무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드라마·매니지먼트 등 콘텐츠 사업의 외형을 키우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모색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블리츠웨이스튜디오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피규어/스태츄 25~50% 40% 실사·애니·로봇 피규어, 글로벌 IP 라이선스
드라마 제작 38% 40% tvN ‘사랑은 외나무다리에서’ 등 콘텐츠 제작
매니지먼트 39% 15% 배우·아티스트 관리, 엔터테인먼트 사업
기타(로열티 등) 11% 5% 로열티, NFT, SML(스티키몬스터랩) 등
 
  • 특징: 2024년 기준 드라마 제작과 매니지먼트 사업이 합병 효과로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피규어 사업은 25~50%로 비중이 다소 줄었습니다.
  • 수익성: 2023~2024년 연속 영업적자(2023년 –80억, 2024년 3분기 –14억), 순이익률 –100% 이상, ROE –31%로 업종 최하위권입니다.178

각 사업의 전망

1. 피규어/스태츄

  • 시장성:
    • 글로벌 피규어 시장 성장세 둔화, 마니아층은 견고하나 신규 시장 개척이 필요.
    • 크래프톤, 두나무 등으로부터 대규모 투자 유치(2024년 200억 원, 신주 발행가 5,550원)로 IP 확장, NFT 사업 진출 기대.3
  • 경쟁력:
    • 할리우드·게임·애니메이션 등 유명 IP 기반 피규어 제작, 중국 외주생산 통한 원가경쟁력.
  • 전망:
    • 배틀그라운드·아톰 등 신규 IP 피규어, NFT 연계 상품 출시.
    • 단, 시장 성장 둔화와 재고 부담, 외주생산 관리 등이 리스크.

2. 드라마 제작

  • 시장성:
    • OTT·글로벌 콘텐츠 시장 성장, 드라마 ‘사랑은 외나무다리에서’ 등 자체 제작 콘텐츠 흥행.
  • 경쟁력:
    • 자체 IP 보유, 매니지먼트와의 시너지.
    • 넷플릭스·tvN 등 플랫폼 납품 경험.
  • 전망:
    • 2025년 신규 드라마·영화 제작 확대, 해외 판권 수출 시 수익성 개선 기대.
    • 단, 제작비 부담·흥행 리스크 상존.

3. 매니지먼트

  • 시장성:
    • 배우·아티스트 관리, 엔터테인먼트 시장 성장.
  • 전망:
    •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 등 흥행, 소속 배우 가치 상승 시 추가 매출 기대.

4. 기타(로열티, NFT 등)

  • 시장성:
    • NFT, 글로벌 IP 라이선스, SML(스티키몬스터랩) 등 신사업 진출.
  • 전망:
    • NFT·메타버스 등 미래 사업은 아직 매출 기여 미미, 장기적 성장동력.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 최대주주 배성웅(14.63%), 특수관계인·배용준 등 5% 이상 주주 다수, 소유구조 분산.6
    • 배성웅 전 대표이사는 현재 의장 및 CSO 역할, 경영진은 각자 대표 체제(최승원, 이승우).6
  • 리스크:
    • 오너 경영권 집중은 낮으나, 경영진 교체·의사결정 지연 가능성.
    • 자금조달(전환사채, 유상증자) 과정에서 주주가치 희석 우려.

기타 리스크

  • 실적 부진:
    • 2023~2024년 연속 적자(2023년 순손실 –100억, 2024년 3분기 영업손실 –14억), 이익결손금 129억, 자본총계 280억(전기 대비 100억 감소), 부채 155억(30% 증가).7
  • 자금조달 부담:
    • 2023년 전환사채 50억, 2022년 유상증자 230억 등 잦은 자금조달, 금융비용 증가.
  • R&D·제작비 증가:
    • 매출 대비 R&D 비용 29%(2023년), 콘텐츠 제작비 증가로 영업이익률 악화.
  • 시장 경쟁:
    • 피규어 시장 성장 둔화, 콘텐츠 사업은 대형 제작사와 경쟁 심화.
  • 외부 변수:
    • 글로벌 경기, 환율, 금리, OTT 정책 변화 등 외부 충격에 민감.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4~2025년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10.67 6.27 2년 연속 적자, 밸류에이션 불가1
PBR 2.34 0.86 업종 최고치, 자본잠식 우려1
ROE –31.02% –14.18% 업종 최하위,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17
영업이익률 –90.47% –9.27% 업종 내 최하위, 구조적 적자1
순이익률 –112.32% –22.08% 업종 내 최하위, 적자 지속1
부채비율 55.18% 90.73% 업종 평균 대비 양호1
매출액 89.4억 1,009억 업종 내 하위권, 외형 확대 필요1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콘텐츠(드라마·매니지먼트) 매출 성장률
    • 영업이익률·ROE 개선
    • PER·PBR(저평가/고평가 여부)
    • 자금조달(전환사채, 유상증자) 부담
    • 신규 IP·NFT 등 신사업 성과
    • 외부 투자자(크래프톤 등) 유치 효과
    • 외부 변수(환율, 금리, OTT 정책 등)

도표: 블리츠웨이스튜디오 최근 5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
2020 130 30 25 23.1% 8.2 1.1 18.0
2021 159 31 –110 19.5% N/A 1.3 –69
2022 191 –36 –35 –18.8% N/A 1.6 –9.2
2023 89 –81 –100 –90.5% –10.7 2.3 –31.0
2024E 120 –60 –80 –50.0% N/A 2.3 –31.0
 

결론

블리츠웨이스튜디오는 피규어 제조 기반에서 콘텐츠(드라마·매니지먼트) 사업으로 외형을 확장하며
크래프톤·두나무 등 외부 투자 유치, NFT·글로벌 IP 사업 진출 등 미래 성장동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3년 연속 적자, ROE·영업이익률 업종 최하위, 자금조달 부담, R&D·제작비 증가 
단기적 재무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변수는 콘텐츠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ROE, 자금조달 부담, 신규 IP·NFT 성과, 외부 투자자 효과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정상화와 자금조달 관리, 중장기적으로는 콘텐츠 사업의 수익성 개선과 글로벌 IP 확장이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블리츠웨이스튜디오 #피규어 #콘텐츠제작 #드라마제작 #매니지먼트 #NFT #PER적자 #PBR고평가 #ROE #영업이익률 #적자지속 #자금조달 #전환사채 #유상증자 #크래프톤 #두나무 #글로벌IP #신사업 #배용준 #배성웅 #경영진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엔터테인먼트 #OTT #외부투자 #R&D #제작비 #시장경쟁 #외주생산 #환율리스크 #금리리스크 #주주가치 #사업다각화 #성장주 #투자전략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박스권 #적자기업 #석경이분석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놈앤컴퍼니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1
석경에이티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
루트락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
나우코스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
파이버프로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