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지놈앤컴퍼니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1.
서론
지놈앤컴퍼니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개발에서 출발해 최근 ADC(항체약물접합체) 신약 개발과 화장품·건강기능식품 등 컨슈머 사업으로 사업 구조를 대대적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미국 CDMO 사업은 철수하고, 신약 기술이전과 화장품 브랜드 ‘유이크(UIQ)’를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과 현금흐름 확보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지놈앤컴퍼니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기타 리스크, 주가와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CDMO(위탁개발생산) |
82.9% |
70% |
리스트랩스 통한 마이크로바이옴 CDMO, 미국 사업 철수 중 |
컨슈머(화장품·건기식) |
15.6% |
25% |
유이크(UIQ)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국내외 유통망 확대 |
신약개발(ADC 등) |
1.5% |
5% |
GENA-111 등 항체 기술이전, 신약 파이프라인 |
- 특징: 2023~2024년까지 CDMO 사업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2025년부터는 컨슈머(화장품·건기식)와 신약 기술이전 매출 비중이 빠르게 확대될 전망입니다1245.
각 사업의 전망
1. CDMO(위탁개발생산)
- 시장성: 미국 리스트랩스 인수로 마이크로바이옴 CDMO 시장에 진출했으나, 시장 위축과 투자 효율성 저하로 2025년 사업 철수 결정5.
- 전망: 미국 생산시설 부지 반환, 자산 매각, 유동성 확보 후 신약·컨슈머 사업에 재투자.
- 리스크: 기존 투자금 회수, 영업활동현금흐름 마이너스(-135억), 단기 실적 변동성.
2. 컨슈머(화장품·건강기능식품)
- 시장성:
- 화장품 브랜드 ‘유이크(UIQ)’ 2024년 1분기 매출 10억(전년 동기 대비 390% 성장), 올리브영·신세계백화점 등 유통망 확장, 일본·인도네시아 등 14개국 진출246.
- 건강기능식품(프로바이오틱스 등) 사업 진출 준비.
- 전망:
- 2027년 유이크 매출 700억 목표, 2025년 컨슈머 사업 매출 비중 40%까지 확대 전망.
- 고수익, 반복매출 구조로 수익성 개선 기대.
- 리스크: 브랜드 경쟁 심화, 해외 시장 진입 장벽, 마케팅 비용 부담.
3. 신약개발(ADC 등)
- 시장성:
- ADC(항체약물접합체) 신약 개발 중심으로 전략 전환, GENA-111(디바이오팜에 4,260만달러, 약 5860억 원 기술이전)346.
- GENA-104 등 신규 타깃 항체 반복 기술이전 전략, 임상 부담 최소화.
- 전망:
- 조기 라이선싱(기술이전) 반복, 단기 현금 유입과 장기 마일스톤·로열티 수익 기대.
- 신약 파이프라인의 조기 수익화로 R&D 재투자 선순환 구조 구축.
- 리스크: 임상 실패, 기술이전 지연, 파이프라인 고갈 우려.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창업주 중심 경영에서 홍유석 대표 체제로 전환, 최근 경영진 교체 후 사업 구조 개편 속도26.
- 경영진 신뢰: 신약 개발과 컨슈머 사업에 집중, 자산 매각·사업 철수 등 과감한 구조조정 단행.
- 리스크: 경영진 교체에 따른 조직 안정성, 전략 변화에 대한 시장 신뢰 회복 필요.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4년 4분기 매출 277억, 영업이익 –242억, 순이익 –269억(적자 지속, 영업이익률 –87.2%, 순이익률 –96.8%)1.
- 2023년 대비 매출은 2배 성장했으나, 대규모 적자 구조 지속.
- 재무구조:
- 부채비율 48.7%로 업종 평균(70.8%) 대비 양호, 현금성 자산 801억(2024년 1분기 기준).
- 영업활동현금흐름 마이너스, 투자금 회수·유동성 확보 필요5.
- 경쟁 심화:
- 화장품·건기식 시장 경쟁 심화, 신약개발·기술이전 시장 내 글로벌 경쟁 치열.
- 주가 변동성:
- 2025년 4월 3,000원(15.38% 급등), 최근 2,200~3,000원대 박스권, 외국인 매수세 유입1.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4년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2.02 |
–12.89 |
2년 연속 적자, 밸류에이션 불가1 |
PBR |
1.66 |
2.55 |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1 |
ROE |
–38.4% |
–6.2% |
업종 최하위권,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1 |
영업이익률 |
–87.2% |
–317.5% |
업종 평균 상회, 구조적 적자1 |
순이익률 |
–96.8% |
–340.2% |
업종 평균 상회, 적자 지속1 |
매출 성장률 |
+94% |
10% 내외 |
컨슈머·기술이전 효과, 외형 성장 |
부채비율 |
48.7% |
70.8% |
재무안정성 양호1 |
주가 |
3,000원 |
- |
52주 변동성 확대, 외국인 매수세1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화장품·건기식(유이크) 매출 성장률
- 신약 기술이전(ADC 등) 성과
- 영업이익률·순이익률 개선
- PER·PBR(저평가/고평가 여부)
- 외국인·기관 수급
- 현금흐름·재무구조 안정성
도표: 지놈앤컴퍼니 최근 4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
2021 |
4.5 |
–361 |
–360 |
–8022% |
N/A |
2.0 |
– |
2022 |
141 |
–575 |
–569 |
–408% |
N/A |
1.8 |
– |
2023 |
143 |
–551 |
–507 |
–385% |
N/A |
1.7 |
– |
2024E |
277 |
–242 |
–269 |
–87.2% |
–2.0 |
1.7 |
–38.4 |
결론
지놈앤컴퍼니는 ADC 신약 기술이전과 화장품·건기식 컨슈머 사업에 집중하는 투트랙 구조로 체질 개선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CDMO 사업 철수, 자산 매각, 현금성 자산 800억 확보 등으로 유동성 리스크는 낮추고 있으나,
대규모 적자, 영업현금흐름 마이너스, 신약 기술이전 반복 성공, 유이크(화장품) 매출 성장이 실적·주가의 핵심 변수입니다.
PER·PBR 모두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구간이나, ROE·이익률은 업종 최하위권입니다.
단기적으로는 화장품·건기식 매출 성장, 신약 기술이전 성과, 재무구조 안정화가,
중장기적으로는 신약 파이프라인의 조기 수익화, 컨슈머 사업의 반복매출 구조 정착이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지놈앤컴퍼니 #ADC #항체약물접합체 #신약개발 #PER적자 #PBR저평가 #유이크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CDMO철수 #기술이전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외국인매수 #기관매수 #현금흐름 #유동성 #자산매각 #성장주 #투자전략 #석경이분석 #컨슈머사업 #마이크로바이옴 #메디컬푸드 #신사업 #R&D #임상리스크 #시장점유율 #사업다각화 #재무안정성 #매출성장 #기관수급 #주주가치 #경쟁심화 #글로벌진출 #자본효율성 #적자지속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