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석경이 투자 블로거 관점에서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 전망, 오너리스크, 기타 리스크, 주가와 연관지어지는 지표 심층 분석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나노소재(치과·의료) | 약 50% | 60% | YbF3 치과용 필러, 코팅·흡광제 등 |
전자·반도체 소재 | 약 35% | 25% | 실리카, TIM 방열소재, 중공실리카 |
신사업(2차전지·고체전해질 등) | 약 15% | 15% | 고체전해질, 6G·자율주행용 신소재 |
- 특징: 치과·의료용 나노소재가 이익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전자·반도체 소재와 신사업(2차전지·고체전해질)이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 2024년 기준: 매출 136.9억(+12.3%), 영업이익 19.8억(-43.5%), 순이익 42.4억(+22.8%)로, 매출과 순이익은 성장했으나 영업이익률은 하락(11%대)했습니다58.
2. 각 사업의 전망
(1) 나노소재(치과·의료)
- 시장성: 글로벌 파트너 수요 강세, YbF3 필러 등 고부가가치 제품 지속 성장.
- 전망: 2025년에도 해외 치과재료 수요 견조, 국내 코팅·흡광제·자성체 등도 20% 성장 기대13.
- 리스크: 주요 고객사 수주 변동, 판가 하락, 원가 부담.
(2) 전자·반도체 소재
- 시장성: 중공실리카, TIM 방열소재 등 고성장 신시장 진입.
- 전망: 2025년 3공장 완공, 중공실리카 연 260억 생산(6G·자율주행·우주 등 핵심소재), 국내 유일 생산기업으로 수익성↑26.
- 리스크: 판가·수출 경쟁 심화, 원재료 가격 변동.
(3) 신사업(2차전지·고체전해질 등)
- 시장성: 2차전지, 고체전해질, 6G·자율주행 등 미래 신산업 핵심소재.
- 전망: 2023년 개발한 붕화물계 고체전해질, 2025년 일본·미국 납품 본격 시작, 특허장벽 회피6.
- 리스크: 신사업 상업화 지연, R&D 투자 부담.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1)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창업주 중심, 경영권 안정성 높음.
- 경영진 신뢰: 분쟁·비리 이슈 없음.
- 의사결정 집중: 성장기에는 장점, 사업 다각화 속도는 제한적일 수 있음.
(2)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PER/PBR 고평가:
- 외국인·기관 수급:
- 시장 변동성:
- 52주 최고 65,200원, 최저 35,800원, 최근 46,200~48,750원대 박스권, 변동성 확대7.
- 경쟁 심화:
- 글로벌 신소재·반도체 소재 시장 경쟁 치열, 판가 압박.
- 환율·원재료 리스크:
- 수출·수입 비중 높아 환율·원가 변동에 민감.
4.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5.4)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58~76배 | 20~30배 | 고평가, 성장 기대 반영47 |
PBR | 6.9배 | 1.5~3배 | 고평가, 미래 성장성 반영7 |
ROE | 16.0% | 10% 내외 | 업종 상위권, 수익성 개선 |
영업이익률 | 11% | 10~12% | 업종 평균 수준, 단기 하락 |
매출 성장률 | +12% | 10% 내외 | 신사업·수출 성장 |
부채비율 | 12% | 30~50% | 재무안정성 우수3 |
주가 | 46,200~48,750원 | - | 52주 고변동성, 외국인 매수세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중공실리카·고체전해질 등 신사업 매출화 속도
- 영업이익률·ROE 개선
- PER·PBR(고평가 부담)
- 외국인·기관 수급
- 환율·원재료 가격 변동
- 글로벌 파트너 수주·수출 확대
5. 도표: 석경에이티 최근 3년 실적 요약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
2022 | 123.5 | 47.1 | 42.9 | 38.1% | 50~60 | 7~9 | 16.0 |
2023 | 121.9 | 35.0 | 34.5 | 28.7% | 58~65 | 7~8 | 16.0 |
2024E | 136.9 | 19.8 | 42.4 | 11.0% | 58~76 | 6.9 | 16.0 |
2025E | 177.0 | 40.0 | 50.0 | 22.6% | 40~50 | 5~6 | 16.0 |
6. 결론
석경에이티는 치과·의료용 나노소재와 전자·반도체 신소재에서 국내외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성장주입니다.
3공장 완공, 중공실리카·고체전해질 등 신사업 매출화, 글로벌 파트너 수주 확대가 2025년 기업가치 변곡점이 될 전망입니다.
PER·PBR 모두 고평가 구간이나, ROE·재무안정성·기술력은 업종 최상위권입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변수는 신사업 매출화, 영업이익률·ROE 개선, PER·PBR 부담, 외국인·기관 수급, 환율·원재료 가격입니다.
태그
#석경에이티 #나노소재 #중공실리카 #고체전해질 #PER고평가 #PBR고평가 #ROE #영업이익률 #신사업 #반도체소재 #치과필러 #2차전지 #6G #자율주행 #재무안정성 #수출성장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성장주 #기술주 #R&D #판가하락 #원가부담 #환율리스크 #시장점유율 #기업가치 #변곡점 #기관매도 #외국인순매수 #재무리스크 #경쟁심화 #수익성개선 #사업다각화 #글로벌파트너 #수주확대 #신제품 #매출성장 #석경이분석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투자 분석 (0) | 2025.04.21 |
---|---|
지놈앤컴퍼니 주식투자 분석 (0) | 2025.04.21 |
블리츠웨이스튜디오 주식투자 분석 (0) | 2025.04.20 |
루트락 주식투자 분석 (0) | 2025.04.20 |
나우코스 주식투자 분석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