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에프앤가이드(064850)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1.
서론
에프앤가이드는 국내 대표 금융정보·데이터 플랫폼 기업으로, 증권사·자산운용사·언론사·기관투자자 등 금융산업 전반에 기업정보, 투자지표, 리서치,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빅데이터 기반의 신사업, ESG·공시·리서치 자동화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에프앤가이드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금융정보 플랫폼(데이터) |
약 65% |
약 70% |
기업정보, 투자지표, 리서치, 데이터 API 등 |
금융솔루션·SI |
약 25% |
약 20% |
금융기관 대상 시스템 구축, 데이터 분석 솔루션 |
기타(신사업·ESG 등) |
약 10% |
약 10% |
ESG·공시·AI 리서치, 신규 데이터 서비스 등 |
- 특징: 금융정보 플랫폼 사업이 매출과 이익의 중심이며, 금융솔루션·신사업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 수익성: 2024년 예상 영업이익률 20% 내외, 데이터 사업의 고마진 구조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각 사업의 전망
1. 금융정보 플랫폼(데이터)
- 시장성:
- 금융기관·언론사·기관투자자 대상 데이터 수요 지속 증가.
- AI·빅데이터 기반 리서치, 투자지표, 데이터 API 등 고부가 서비스 확대.
- 전망:
- 2025년 AI·ESG·글로벌 데이터 신규 서비스 본격화, 반복 매출 구조 강화.
- 금융투자업계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장기 성장세 유지.
2. 금융솔루션·SI
- 시장성:
- 금융기관 대상 시스템 구축, 데이터 분석·리서치 자동화 수요 증가.
- 전망:
- 2025년 SI 프로젝트 수주 확대, 신사업(ESG·공시 자동화) 매출 기여도 증가.
- 금융기관 IT 투자 확대에 따른 안정적 성장.
3. 기타(신사업·ESG 등)
- 시장성:
- ESG 정보, 공시 자동화, AI 기반 리서치 등 신규 데이터 서비스 시장 개화.
- 전망:
- 2025년 ESG·AI 리서치 신규 매출 본격화, 글로벌 데이터 파트너십 확대.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 최대주주(본인+특별관계자) 47.9% 지분(2024년 10월 기준), 10% 이상 주주 11.49%, 5% 이상 주주 6.78% 등 소유구조 집중.
- 임원진 12명, 우리사주조합 0.25% 등 경영권 안정성 높음24.
- 경영진 신뢰도:
- 경영진 교체, 분쟁, 비리 등 오너리스크 이슈 없음.
- 의사결정 집중 구조, 신사업 추진 속도에 따라 성장성 좌우.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4년 주가 38,450원(최고), 5,670원(최저) 등 변동성 확대1.
- 2024년 PER 110.7배(최고), 16.3배(최저), PBR 7.12배(최고), 1.05배(최저)로 밸류에이션 변동성 큼1.
- 경쟁 심화:
- NICE평가정보, 이크레더블, 웹케시 등 경쟁사와의 기술·서비스 경쟁.
- 신사업 상업화 리스크:
- AI·ESG 등 신사업의 상업화 속도, 글로벌 데이터 경쟁력 확보 필요.
- 고객사 집중도:
- 주요 금융기관·언론사 매출 비중 높음, 고객사 계약 변동 시 실적 영향.
- 인건비·R&D 부담:
- 직원 평균연봉 6,214만 원, 임원/직원 보수비율 3.8배로 인건비 부담 상존3.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4년(최고/최저)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110.7/16.3배 |
20~30배 |
데이터주 고평가 구간, 실적 변동성 반영1 |
PBR |
7.12/1.05배 |
2~3배 |
고평가 구간, 성장 기대 반영1 |
ROE |
16.3% |
10% 내외 |
업종 상위권, 데이터 사업 고수익 구조 |
영업이익률 |
20% 내외 |
10~15% |
업종 평균 상회, 데이터 사업 효과 |
매출 성장률 |
+10~15% |
10% 내외 |
신사업·반복 매출 구조 강화 |
배당성향 |
20~25% |
15% 내외 |
주주친화 정책, 2024년 주당 220원1 |
주가 |
38,450~5,670원 |
- |
52주 변동성 극대화, 실적·신사업 기대감 반영1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데이터 플랫폼 매출 성장률
- 영업이익률·ROE 개선
- PER·PBR(고평가/저평가 여부)
- 신사업(ESG·AI·글로벌 데이터) 상업화
- 주주환원(배당성향) 정책
- 외국인·기관 수급
도표: 에프앤가이드 최근 5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배당(원)
2020 |
- |
- |
- |
- |
32.2 |
3.43 |
- |
100 |
2021 |
- |
- |
- |
- |
28.9 |
2.95 |
- |
130 |
2022 |
- |
- |
- |
- |
16.3 |
2.17 |
- |
180 |
2023 |
- |
- |
- |
- |
14.2 |
1.70 |
- |
180 |
2024E |
- |
- |
- |
20% |
22.5~110.7 |
1.05~7.12 |
16.3 |
220 |
결론
에프앤가이드는 금융정보·데이터 플랫폼의 고수익 구조와 반복 매출,
AI·ESG·글로벌 데이터 신사업의 성장성,
주주친화 배당 정책 등으로 중장기 투자 매력이 높은 IT 서비스 대표주입니다.
PER·PBR 모두 변동성이 크지만, ROE·영업이익률 업종 상위권이며,
데이터 플랫폼 매출 성장, 신사업 상업화, 배당성향, 외국인·기관 수급이 주가의 핵심 변수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밸류에이션 변동성, 중장기적으로는 신사업 상업화와 글로벌 데이터 경쟁력이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에프앤가이드 #금융정보 #데이터플랫폼 #PER #PBR #ROE #영업이익률 #배당성향 #주주환원 #AI #ESG #공시자동화 #리서치 #신사업 #IT서비스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기관투자자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경쟁심화 #NICE평가정보 #이크레더블 #웹케시 #사업다각화 #성장주 #데이터주 #반복매출 #주주가치 #배당주 #투자전략 #석경이분석 #재무구조 #경영권안정 #지배구조 #신사업상업화 #시장점유율 #글로벌데이터 #R&D #인건비부담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