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코 주식투자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앱코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2.
반응형

서론

앱코(129890)는 국내 1위 게이밍기어(키보드, 마우스, 헤드셋 등) 기업으로, 최근에는 **공공사업(스마트스쿨 충전보관함)**과 생활가전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1~2022년 영업적자와 실적 부진을 겪었으나, 2023년 하반기부터 공공사업 수주 확대와 고정비 효율화로 흑자 전환에 성공, 2024년에는 연간 매출 1,000억 원대 재진입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앱코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3)영업이익 비중(2023)주요 내용
게이밍기어 53.0% 60% 키보드(국내 점유율 40%+), 케이스, 헤드셋, 마우스 등
공공사업(충전보관함) 41.6% 35% 스마트스쿨, 교육청 납품 1위, 시장점유율 50%+
소형가전 5.4% 5% 공기청정기, 청소기 등 생활가전
 
  • 특징: 2023년 기준 게이밍기어가 매출과 이익의 중심이었으나, 2024년부터는 공공사업(충전보관함) 매출이 40% 이상을 차지하며 캐시카우 역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소형가전은 매출 비중이 낮고 수익성도 제한적입니다1.

각 사업의 전망

1. 게이밍기어

  • 시장성:
    • 코로나 이후 PC방 업황 부진, 금리 인상기 소비 위축 등으로 성장 정체.
    • 국내 게이밍 키보드 시장 점유율 40% 이상, 브랜드 인지도는 업계 최상위.
  • 경쟁력:
    • 앱코, 해커, 콕스 등 다수 브랜드 보유, 자체 개발·디자인 역량.
  • 전망:
    • 2024년 매출 556억(+6% YoY)로 소폭 성장, 시장 회복세에 따라 점진적 반등 기대.
    • 신제품 출시·온라인 채널 강화로 점유율 방어.

2. 공공사업(충전보관함)

  • 시장성:
    • 정부 ‘그린 스마트 스쿨’ 정책, 전국 노후 학교 디지털 전환, 스마트 단말기 충전 수요 급증.
    • 2024년 서울/경기 교육청 본격화, 전국 교육청 납품 1위, 시장점유율 50% 이상.
  • 경쟁력:
    • 2014년 국내 최초 충전보관함 출시, 1~4차 정부 시범사업 수주, 특허·디자인권 다수 보유.
    • 전국 20개 지사 A/S 네트워크, 불량률 0.06%의 안정성.
  • 전망:
    • 2024년 공공사업 매출 420억(전체의 40%+), 신규 수주·교체수요·관공서 확대로 성장 지속.
    • 공공사업이 게이밍기어를 대체하는 핵심 캐시카우로 자리잡을 전망1.

3. 소형가전

  • 시장성:
    • 공기청정기, 청소기 등 생활가전 시장 성장 정체, 경쟁 심화.
  • 전망:
    • 2024년 매출 70억(+30.9% YoY)로 소폭 성장, 수익성은 제한적.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 최대주주 오광근 외 3인 28.48%, 10% 이상 주주(5,002,000주, 9.88%), 자사주 10.07%2.
    • 임원진 등 특수관계자 지분 분산, 경영권 안정성은 높음.
  • 경영진 신뢰도:
    • 분쟁·비리 이슈 없음, 창업주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
  • 리스크:
    • 오너리스크는 낮으나, 의사결정 집중으로 사업 다각화 속도 제한 가능성.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1~2022년 영업적자(–91억, –155억), 2023년 흑자전환(영업이익 22억, 영업이익률 2.2%), 2024년 영업이익 79억(+267.5% YoY) 전망.
  • 고정비 부담:
    • 소형가전 사업 확장, 판관비 증가, 재고상각 등으로 고정비 부담 상존.
  • 경쟁 심화:
    • 게이밍기어 시장 경쟁 심화, 소형가전·공공사업 신규 진입자 등장 가능성.
  • 공공사업 의존도:
    • 충전보관함 등 공공사업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정책·수주 변동성.
  • 주가 변동성:
    • 2025년 3월 기준 주가 993원(52주 최고 1,266원, 최저 625원), 외국인 지분율 0.62%로 낮음, 거래량·변동성 확대.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1202220232024E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매출액(억) 1,377 1,260 989 1,046 공공사업 매출 확대
영업이익(억) –91 –155 22 79 2023년 흑자전환
영업이익률 –9.0% –18.7% 2.2% 7.6% 5~10% 2024년 수익성 개선
순이익(억) –71 –176 18 66 2023년 흑자전환, 2024년 대폭 개선
PER N/A N/A 23.4 7.6 10~15배 2024년 저평가 구간
PBR 1.8 1.1 0.7 0.8 1.0~2.0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ROE –9.3% –27.3% 3.2% 10.8% 10% 내외 2024년 업종 평균 회복
주가 993 52주 변동성 확대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공공사업(충전보관함) 매출 성장률
    • 영업이익률·ROE 등 수익성 지표
    • PER·PBR(저평가 여부)
    • 게이밍기어 시장 점유율·성장성
    • 정책·수주 변동성
    • 외국인·기관 수급 동향

도표: 앱코 최근 5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
2020 1,534 234 182 15.3% 11.6 3.4 40.4
2021 1,377 –91 –71 –9.0% N/A 1.8 –9.3
2022 1,260 –155 –176 –18.7% N/A 1.1 –27.3
2023 989 22 18 2.2% 23.4 0.7 3.2
2024E 1,046 79 66 7.6% 7.6 0.8 10.8
 

결론

앱코는 게이밍기어 1위 기업에서 공공사업(충전보관함) 중심의 구조적 전환에 성공하며
2023년 흑자전환, 2024년 수익성 대폭 개선, PER 7.6배·PBR 0.8배의 저평가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공공사업 매출 성장, 영업이익률·ROE 개선, 게이밍기어 시장 점유율, 정책·수주 변동성, PER·PBR 등이
주가의 핵심 변수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공공사업 수주와 수익성 개선, 중장기적으로는 게이밍기어 시장 회복과 신규 사업 다각화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앱코 #게이밍기어 #PER저평가 #PBR저평가 #공공사업 #충전보관함 #스마트스쿨 #영업이익률 #ROE #수익성개선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사업다각화 #정책수혜 #흑자전환 #성장주 #투자전략 #석경이분석 #생활가전 #소형가전 #시장점유율 #정책리스크 #공공수주 #기관수급 #외국인지분 #고정비효율화 #재고상각 #판관비 #브랜드경쟁력 #온라인채널 #신제품 #A/S네트워크 #특허 #디자인권 #관공서 #교육청 #정책변동성 #매출성장 #내재가치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에프씨(NFC)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2
포인트모바일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2
클리노믹스 주식투자 분석  (1) 2025.04.21
명신산업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1
퀀타매트릭스 주식투자 분석  (1)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