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노믹스 주식투자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클리노믹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1.
반응형

서론

클리노믹스는 게놈(유전체) 기반 바이오헬스 기업으로, 다중오믹스 분석·액체생검·암/질병 조기진단 등 정밀의료 분야에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때 코로나19 진단키트 수혜로 실적이 급증했으나, 이후 본업인 유전체 진단사업의 성장 정체, 무리한 사업 다각화, 잦은 자금조달과 경영권 불안 등으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클리노믹스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유전체 진단/분석 60~70% 70% 액체생검, 다중오믹스, 암/질병 조기진단
헬스케어 서비스/플랫폼 20~30% 20% 게놈 기반 건강관리, DTC, 맞춤형 분석
기타(사업다각화 등) 5~10% 10% 호텔·농업회사 등 비핵심 신사업, 투자자산
 
  • 특징: 유전체 진단/분석이 본업이자 이익의 중심이며, 헬스케어 플랫폼은 성장성은 있으나 수익성은 낮은 편입니다. 기타 사업은 CB(전환사채) 자금으로 추진된 투자성 사업이나, 대부분 손실로 귀결되었습니다.

각 사업의 전망

1. 유전체 진단/분석

  • 시장성:
    • 암·질병 조기진단, 액체생검 등 정밀의료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 전망.
    • 다중오믹스 기반 조기진단, 혈액 기반 특허 등 기술적 차별성 보유.
  • 경쟁력:
    • 혈액 기반 CTC/cfDNA 동시 검출, 다중오믹스 분석 특허 등.
    • 2024년 혈액 조기진단 특허 확보로 단기 주가 급등 경험.
  • 전망:
    • 본업 시장 성장성은 높으나, 매출 규모와 수익성 모두 업계 선두권 대비 부족.
    • 연구개발(R&D) 투자 지속, 상업화·보험수가 등재 등 현실적 한계.

2. 헬스케어 서비스/플랫폼

  • 시장성:
    •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 맞춤형 건강관리 시장 성장.
  • 경쟁력:
    • 자체 플랫폼, 다중오믹스 기반 분석 서비스.
  • 전망:
    • 시장 성장성은 있으나, 경쟁 심화와 규제 부담, 수익화 속도 지연.

3. 기타(사업다각화 등)

  • 시장성/리스크:
    • 2023~2024년 CB 자금으로 호텔(뉴오리엔탈호텔), 농업회사(가금농산) 등 비핵심 사업 투자.
    • 대부분 손실(호텔 자산 매각, 농업회사 평가손실 등)로 귀결, 본업과의 시너지 없음.
  • 전망:
    • 비핵심 자산 처분, 재무구조 개선 필요.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 2023년 제3자배정 유상증자(76억)로 최대주주가 박종화 외 5인→제노투자조합1호(정준호)로 변경.
    • 2024년 5회차 CB(55억) 발행, 도미네이트(이상윤 대표)로 최대주주 변경 가능성.
  • 경영권 불안:
    • CB 전환 시 도미네이트가 현 최대주주(제노투자조합1호)보다 더 많은 주식 보유 가능.
    • 도미네이트의 실질 자본력·경영권 장악력 불확실, 제3의 인물 경영권 이동 가능성.
  • 리스크:
    • 잦은 최대주주 변경, 경영권 불안, 의사결정 지연 및 사업 방향성 혼란.

기타 리스크

  • 자금조달/재무구조:
    • 2023~2025년 CB(전환사채)만 345억 원 발행, 무상감자(93.33%)로 주식 수 대폭 감소.
    • 결손금 605억(2023년 3분기), 자본잠식 및 관리종목 지정 위험.
  • 사업다각화 실패:
    • CB 자금으로 투자한 호텔·농업회사 등 대부분 손실, 본업 역량 약화.
  • 실적 부진:
    • 2021년 매출 554억(코로나 진단키트 특수), 2022년 231억, 2023년 66억(상반기), 2024년 매출 감소 지속.
    • 2022~2024년 영업적자 100~140억 원대, 순손실 지속.
  • 오버행(전환사채) 리스크:
    • 5회차 CB(55억, 전환가 9985원, 전환가능주식 55만주)는 무상감자 후에도 최대주주 지위 위협.
  • 주가 변동성:
    • 2024년 4월 무상감자(15:1)로 주가 이론상 9775원, CB 전환가 9985원, 최저조정가 6990원.
    • 2024년 3월 종가 652원→감자 후 9775원(이론가), 실제 거래가는 변동성 확대 예상.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02021202220232024E업종 평균특징
매출액(억) 98 554 231 66(상반기) 100 미만 300~500억 코로나 특수 이후 급감
영업이익(억) –123 229 –108 –139(상반기) –200 내외 적자 지속
PER N/A N/A N/A N/A N/A –20~30배 적자, 밸류에이션 불가
PBR 4.75 3.84 2.54 2.00 0.59 1.5~2.0 감자 후 저평가 구간
ROE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
FCF(억) –95 –49 –89 –70 –64 현금흐름 악화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CB 전환/오버행 리스크
    • 최대주주 변경/경영권 안정성
    • 영업이익률·순이익률 개선(적자폭 축소)
    • 본업(유전체 진단) 매출 성장률
    • 비핵심 자산 정리·재무구조 개선
    • 무상감자 후 주가 흐름

도표: 클리노믹스 최근 5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PERPBRFCF(억)결손금(억)
2020 98 –123 N/A 4.75 –95
2021 554 229 N/A 3.84 –49
2022 231 –108 N/A 2.54 –89
2023 66(상반기) –139 N/A 2.00 –70 605
2024E 100 미만 –200 내외 N/A 0.59 –64 600+
 

결론

클리노믹스는 유전체 기반 정밀진단·다중오믹스 기술력 혈액 조기진단 특허 등 성장성을 보유했으나,
CB(전환사채) 오버행, 잦은 최대주주 변경, 경영권 불안, 사업다각화 실패, 실적 부진, 자본잠식 위험 
구조적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변수는 CB 전환/오버행, 경영권 안정성, 본업 매출 성장, 적자폭 축소, 무상감자 후 재무구조 개선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오버행 해소와 경영권 안정, 중장기적으로는 본업 경쟁력 회복과 실적 정상화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클리노믹스 #유전체진단 #다중오믹스 #액체생검 #PER적자 #PBR저평가 #CB오버행 #경영권불안 #최대주주변경 #무상감자 #자본잠식 #관리종목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사업다각화 #실적부진 #적자지속 #재무구조 #투자전략 #석경이분석 #바이오주 #혈액조기진단 #특허 #비핵심자산 #오너리스크 #주주가치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시장점유율 #본업경쟁력 #신사업실패 #재무위기 #현금흐름 #주가변동성 #주식감자 #유상증자 #전환사채 #신사업 #테마주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인트모바일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2
명신산업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1
퀀타매트릭스 주식투자 분석  (1) 2025.04.21
인바이오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1
엔젠바이오 주식투자 분석  (0)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