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7.
서론
해성에어로보틱스는 로봇 감속기와 드론·항공 솔루션 분야에서 국내외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세계 최초의 로봇용 Cycloid 감속기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국산화 실증사업에 성공하며, 로봇 제조사 및 다양한 산업군에서 수요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드론 기술을 물류, 농업, 방산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며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글은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해성에어로보틱스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승강기용 권상기 |
82.09% |
약 80% |
엘리베이터 권상기, 산업용 감속기 기반 |
산업용 감속기 |
12.73% |
약 15% |
제조로봇·공작기계·풍력발전기 등 |
로봇용 감속기 |
0.25% |
미미 |
싸이클로이드 감속기, 신성장동력 |
상품 및 기타 |
4.93% |
5% 미만 |
부품 유통, 기타 |
- 특징: 승강기·산업용 감속기 등 전통 사업이 매출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로봇용 감속기와 드론 솔루션 등 신사업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17.
각 사업의 전망
1. 승강기/산업용 감속기
- 시장성: 국내외 건설·산업 설비투자 회복과 함께 안정적 수요 유지.
- 경쟁력: 권상기 및 감속기 분야에서 품질·납기 경쟁력 확보.
- 리스크: 가격경쟁 심화, 경기 변동성에 따른 수요 변동.
2. 로봇용 감속기
- 성장성:
- 세계 최초 Cycloid 감속기 국산화 실증사업 성공, 로봇 제조사 공급 확대7.
- 29종 기본모델 개발, 소형~대형 제조로봇(6kgf~1,500kgf)에 적용.
- 풍력발전기·공작기계 등 응용제품 개발로 시장 확대.
- 기술력: 17개 특허 등록, 응용 설계기술 및 양산 체계 구축.
- 전망:
- 일본·미국 시장에서 2025년 매출 각각 200억, 710억 원 목표(전년 대비 103%, 187% 성장 예상)7.
- B2B·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국내외 로봇 제조사와 협력 강화.
3. 드론·항공 솔루션
- 성장성:
- 물류, 농업, 방산 등 다양한 산업에서 드론 수요 급증26.
- 정부 정책 지원, 규제 완화로 시장 진입장벽 낮아짐.
- 기술력: 자율비행·AI 접목, 친환경 드론 개발로 차별화.
- 전망: 글로벌 시장 진출, 해외 파트너십 확대가 장기 성장 동력.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경영권 분쟁/불성실공시:
- 2024년 3월 주식양수도계약 해제, 유상증자·전환사채 발행 철회 등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4.
- 전략적 투자자(SI) 및 재무적 투자자(FI)와의 M&A 무산, 경영권 변경 불발.
- 기존 경영진(장 대표) 관련 TS트릴리온 경영권 분쟁 이슈4.
- 지배구조 불확실성:
- 외부 투자자와의 협상 실패, 경영권 안정성 저하.
- 오너리스크가 투자심리 및 주가 변동성에 부정적 영향.
기타 리스크
- 실적 부진:
- 2024년 4분기 매출 149억 원, 영업이익 -7.1억 원, 순이익 -5.2억 원(3년 연속 적자)15.
- 영업이익률 -4.8%, 순이익률 -3.5%로 업종 평균과 유사한 구조적 적자1.
- 성장률 둔화:
- 2021~2024년 매출 성장률 정체(2021년 152억 → 2024년 149억), 수익성 악화.
- 원가율 상승, 고정비 부담, R&D 투자 증가.
- 시장 경쟁 심화:
- 일본·중국 등 글로벌 감속기·드론 업체와의 경쟁 격화.
- 가격경쟁, 기술격차 축소, 공급망 불안정.
- 환율·글로벌 변수:
- 수출 비중 38%로 환율 변동성 및 글로벌 경기 영향 큼5.
- 공매도·주가 변동성:
- 2025년 4월 기준 주가 6,860원, 1년 내 최고 14,680원, 최저 4,700원(고변동성)13.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4)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122.9 |
12.15 |
3년 연속 적자, 밸류에이션 불가 |
PBR |
1.68 |
3.95 |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
ROE |
-1.93% |
-2.32% |
업종 평균 수준,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 |
영업이익률 |
-4.79% |
-4.62% |
구조적 적자, 수익성 개선 필요 |
순이익률 |
-3.53% |
-5.20% |
업종 평균 상회, 적자 지속 |
부채비율 |
7.0% |
90.5% |
매우 낮은 부채, 재무안정성 우수 |
매출액 |
149억 |
4,860억 |
업종 내 하위권, 성장 정체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로봇용 감속기·드론 신사업 매출 성장률
- 영업이익률/순이익률
- PER/PBR(저평가 여부)
- 오너리스크·경영권 분쟁
- 수출 성장률/환율
- R&D 투자 효과
- 공매도·주가 변동성
도표: 해성에어로보틱스 사업별 매출/영업이익 비중(2024년 기준)
사업부문매출 비중영업이익 비중주요 제품/서비스
승강기용 권상기 |
82.09% |
80% |
엘리베이터 권상기, 감속기 |
산업용 감속기 |
12.73% |
15% |
제조로봇·공작기계·풍력발전기 |
로봇용 감속기 |
0.25% |
미미 |
싸이클로이드 감속기 |
상품 및 기타 |
4.93% |
5% 미만 |
부품 유통, 기타 |
결론
해성에어로보틱스는 로봇 감속기 국산화와 드론·항공 솔루션 신사업을 통해 장기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입니다. 그러나 3년 연속 적자, 경영권 분쟁 및 오너리스크, 시장 경쟁 심화 등 단기적 리스크가 여전합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핵심 변수는 신사업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 오너리스크, PER/PBR, 수출 성장률, R&D 효과, 공매도·변동성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경영권 안정화와 실적 개선, 중장기적으로는 로봇·드론 신사업의 본격 매출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가 주가의 핵심 방향성을 결정할 것입니다.
태그
#해성에어로보틱스 #로봇감속기 #싸이클로이드감속기 #드론 #PER적자 #PBR저평가 #오너리스크 #경영권분쟁 #신사업 #공매도 #주가전망 #수출성장 #R&D #특허 #시장경쟁 #재무안정성 #부채비율 #공작기계 #풍력발전 #산업용감속기 #권상기 #엘리베이터 #글로벌시장 #공급망 #기술혁신 #특허경쟁력 #주가변동성 #성장주 #적자지속 #매출성장률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환율리스크 #공시 #불성실공시 #M&A #B2B #글로벌파트너십 #AI드론 #자율비행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