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언트스텝 주식투자 심층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자이언트스텝 주식투자 심층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8.
반응형

서론

자이언트스텝은 광고·영상 VFX(시각특수효과), 리얼타임 콘텐츠, 전시·미디어아트, 게임·XR 콘서트 등 디지털 콘텐츠 전반에 걸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2021년 기술특례상장 이후 메타버스·AI·가상인간 등 신사업 기대감에 힘입어 주목받았지만, 최근에는 적자 지속과 관리종목 지정 유예 종료, 오너리스크 등으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자이언트스텝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광고·영상 VFX 45% 60% 광고,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 VFX 제작
리얼타임 콘텐츠 20% 15% 실시간 3D 콘텐츠, 버추얼 휴먼, 메타버스 등
전시·미디어아트 20% 15% 미디어아트 전시, 인터랙티브 공간, SILO Lab
게임·XR 콘서트 15% 10% 신작 게임(KAMPERS), XR 콘서트, 소셜 네트워크 게임 등
 
  • 특징: 광고·영상 VFX가 전통적 캐시카우이나, 신사업(전시, 게임, XR콘서트 등) 비중이 매년 확대되고 있습니다.
  • 영업이익: 2021~2024년 연속 적자(2023년 영업손실 -261억, 2024년 1분기 -49억)125.

각 사업의 전망

1. 광고·영상 VFX

  • 성장성: 광고, 영화, 드라마 등 전통 미디어 시장은 안정적 성장(10% 내외) 유지2.
  • 경쟁력: 국내외 대형 광고주·제작사와의 파트너십, 고퀄리티 VFX 기술력.
  • 리스크: 단가 하락, 경쟁 심화, AI 기반 자동화로 인한 수익성 압박.

2. 리얼타임 콘텐츠·버추얼 휴먼

  • 성장성: 메타버스, 실시간 3D 콘텐츠, 버추얼 휴먼 등 신시장 개화.
  • 경쟁력: 자체 엔진·AI 활용, 글로벌 IP 협업, 실시간 인터랙티브 기술.
  • 전망: 2025년 이후 메타버스·가상인간 시장 성장에 따라 매출 확대 기대.
  • 리스크: 시장 개화 지연, 대규모 R&D 비용, 수익화 불확실성.

3. 전시·미디어아트

  • 성장성: IP 기반 미디어아트 전시, 인터랙티브 공간 사업 확대.
  • 전략: 일본 등 해외 지역 진출, SILO Lab 등 자체 전시공간 운영.
  • 전망: 일본 시장은 국내 대비 단가·수요 높아 실적 개선 기대2.
  • 리스크: 초기 투자비 부담, 흥행 실패시 손실 확대.

4. 게임·XR 콘서트

  • 성장성: XR 콘서트, 소셜 네트워크 게임 등 신사업 본격화.
  • 전략: 신작 게임 '캄퍼스(KAMPERS)' 출시, 글로벌 콘서트·게임 시장 진출.
  • 리스크: 개발비 부담, 시장 진입 장벽, 초기 매출 기여도 미미.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블록딜·지분매각: 2022년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대표 배우자 등) 대규모 블록딜(410억 원어치)로 투자자 신뢰도 하락3.
  • 경영권 리스크: 특수관계인 지분매각, 임원 주식 처분 등으로 경영진 신뢰 약화.
  • 관리종목 리스크: 2024년 관리종목 지정 유예 종료, 2년 연속 자기자본 50% 이상 법차손 발생 시 관리종목 지정 위험5.

기타 리스크

  • 적자 지속: 2021~2024년 연속 영업적자 및 순손실 확대(2023년 순손실 -252억, 2024년 1분기 영업손실 -49억)15.
  • R&D·고정비 부담: 신사업(게임, XR, 미디어아트) 투자로 연구개발비·인건비·상각비 급증.
  • 시장 경쟁: 글로벌 VFX·메타버스·게임 시장 내 경쟁 심화, AI·자동화 기술 확산.
  • 실적 변동성: 신사업 매출화 지연, 전시·게임 등 프로젝트 단발성 매출 구조.
  • 주가 변동성: 2022~2025년 고점 대비 70% 이상 하락, 거래량·변동성 확대4.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4~2025)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N/A(적자) 19.8배 4년 연속 적자, 밸류에이션 불가
PBR 1.7배 2.1배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구간
ROE -25.5% 3.2%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
영업이익률 -52% 6.1% 구조적 적자, 수익성 악화
매출액 501억(2024E) 2,100억 업종 내 중위권, 성장세 유지
부채비율 43% 68% 재무건전성 양호
주가 5,240원(2025.4) - 1년간 4,600~6,800원 등락, 변동성 확대4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신사업(전시·게임·XR) 매출화 속도
    • 영업이익률·적자폭 개선
    • 오너리스크(블록딜, 경영진 신뢰)
    • 관리종목 지정 위험
    • R&D·고정비 부담
    • 해외 시장 진출(일본 등) 성과
    • 주가 변동성

도표: 자이언트스텝 사업별 매출/영업이익 비중(2024년 기준)

사업부문매출 비중영업이익 비중주요 제품/서비스
광고·영상 VFX 45% 60% 광고,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
리얼타임 콘텐츠 20% 15% 실시간 3D, 버추얼휴먼, 메타버스
전시·미디어아트 20% 15% 미디어아트 전시, SILO Lab
게임·XR 콘서트 15% 10% XR 콘서트, 신작 게임, 소셜게임
 

결론

자이언트스텝은 광고·영상 VFX를 기반으로 신사업(전시·게임·XR 등) 확장에 집중하고 있으나,
4년 연속 적자, 오너리스크(블록딜, 경영진 신뢰 저하), 관리종목 지정 위험, R&D·고정비 부담 등 복합 리스크가 상존합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핵심 변수는 신사업 매출화, 적자폭 개선, 오너리스크, 관리종목 위험, 해외 시장 진출 성과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일본 등 해외 전시·콘서트·게임 성과, 중장기적으로는 신사업의 수익화와 고정비 관리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자이언트스텝 #VFX #리얼타임콘텐츠 #메타버스 #XR콘서트 #광고영상 #미디어아트 #신사업 #PER적자 #PBR저평가 #오너리스크 #블록딜 #관리종목 #적자지속 #R&D #고정비 #경영진신뢰 #주가변동성 #일본전시 #글로벌시장 #신작게임 #버추얼휴먼 #SILOLab #소셜게임 #영업이익률 #적자폭 #매출성장 #시장경쟁 #AI #자동화 #재무건전성 #부채비율 #주가전망 #실적변동성 #테마주 #상장주 #IPO #해외사업 #수익성개선 #주주가치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