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담글로벌은 브랜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022년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 바이오비쥬 필러 및 보톡스 제조/유통, 그리고 S2C(Social-to-Consumer) 이커머스 플랫폼 운영이 포함됩니다. 이 글에서는 청담글로벌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3년 기준 청담글로벌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매출 비중(%)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 | 89.6% |
바이오비쥬 필러 및 보톡스 | 9.7% |
S2C 이커머스 플랫폼 | 0.6% |
기타 | 0.1% |
-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은 전체 매출의 약 89.6%를 차지하며, 주요 고객사로는 중국의 JD.COM과 협력하여 화장품 및 생활용품의 유통을 담당합니다.
- 바이오비쥬 필러 및 보톡스는 매출 비중 약 9.7%로, 필러 및 보톡스 관련 제품을 제조 및 유통합니다.
- S2C 이커머스 플랫폼은 매출 비중 약 0.6%로, S2C 기반 라이브 이커머스 플랫폼을 운영하며, 이는 온라인 판매 채널 확장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
- 청담글로벌은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제공하며,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성장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2025년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기존 고객과의 협력 강화와 신규 고객 확보 덕분입니다.
- 특히, S2C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바이오비쥬 필러 및 보톡스
- 바이오비쥬는 필러 및 보톡스 관련 제품을 제조 및 유통하며, 2025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는 기존 고객과의 협력 강화와 신규 고객 확보 덕분입니다.
S2C 이커머스 플랫폼
- S2C 이커머스 플랫폼은 라이브커머스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판매 채널 확장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특히, AI 기술을 활용한 신규 플랫폼 출시가 계획되어 있으며, 이는 청담글로벌의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청담글로벌의 경영진은 연구개발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다만,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화장품 유통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원재료 가격 변동성:
-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이 매출원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규제 변화 리스크:
- 화장품 및 생활용품 관련 규제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약 21배로 제한적 이익 회복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 보입니다.
- 그러나 2025년 영업이익 증가로 인해 PER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1.5배로 자산 대비 적정 수준이며, 이는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매출 성장률
-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5% 감소한 6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 매출 감소에 기인합니다.
- 2024년 매출액은 약 78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S2C 매출 증가와 기존 고객과의 협력 강화 덕분입니다.
- 2025년 매출액은 약 10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S2C 플랫폼 확대와 바이오비쥬 실적 개선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적자를 기록 중이나 2025년 흑자 전환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결론: 청담글로벌 투자 포인트
청담글로벌은 화장품 및 생활용품 유통과 바이오비쥬 필러 및 보톡스 사업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특히 S2C 플랫폼 확대와 바이오비쥬 실적 개선이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사 의존도와 시장 경쟁 심화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재무 개선 이후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청담글로벌 #화장품유통시장확장 #바이오비쥬필러보톡스 #S2C이커머스플랫폼 #PER적정기업 #PBR적정기업 #화장품유통 #바이오비쥬 #S2C #시장경쟁심화 #원재료가격변동성 #규제변화리스크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온칩스: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30 |
---|---|
마스턴프리미어리츠: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30 |
코나솔: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1) | 2025.03.30 |
비큐AI: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30 |
위니아에이드: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