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인바이오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21.
서론
인바이오는 농업용 친환경 바이오 농약 및 비료를 주력으로 하는 코스닥 상장사입니다. 국내외 친환경 농업 트렌드와 정부의 농약 규제 강화에 힘입어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고 있지만, 최근 실적 부진, 원가 상승, 성장성 둔화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인바이오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농약(살균·살충제) |
약 65% |
약 70% |
친환경 살균제, 살충제, 병해충 방제 |
비료(유기·복합비료) |
약 25% |
약 20% |
유기질, 복합비료, 토양개량제 등 |
기타(신사업 등) |
약 10% |
약 10% |
원재료, 수출, 신제품 등 |
- 특징: 농약 부문이 매출과 이익의 중심이며, 비료·신사업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 2024년 실적: 매출 감소와 원가 부담으로 영업이익률이 2020년 10%대에서 최근 2~4%대로 하락, 2023년 영업이익 14억 원, 2024년 소폭 개선 전망.
각 사업의 전망
1. 농약(살균·살충제)
- 시장성:
- 국내외 친환경 농업 트렌드, 정부 농약 규제 강화로 안정적 수요.
- 신제품(생물농약, 저독성 농약) 개발로 시장 확대 시도.
- 경쟁력:
- 국내외 특허 20여 건, 독자적 원료 및 제형 기술.
- 전국 유통망, 대형 농협·조합과의 장기 파트너십.
- 전망:
- 2025년 신제품 출시, 수출 확대 시 매출 회복 기대.
- 원가 상승과 시장 경쟁 심화가 수익성에 부담.
2. 비료(유기·복합비료)
- 시장성:
- 유기질·복합비료 수요 증가, 친환경 인증 농가 확대.
- 경쟁력:
- 전망:
- 2025년 비료 신제품 출시, 대형 농협·조합 수주 확대.
3. 기타(신사업 등)
- 시장성:
- 원재료 수출, 신제품(생물농약·첨가제 등) 개발.
- 전망:
- 신사업 매출 기여도는 아직 미미하나,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 30.87%2, 경영권 안정성은 높음.
- 임원진 2명(지분 0.2%), 우리사주조합 및 자사주 없음.
- 경영진 신뢰:
- 최근 분쟁·비리 이슈 없음, 의사결정 집중 구조.
- 리스크:
- 오너 개인 리스크는 낮으나, 의사결정 집중에 따른 사업 다각화 속도 제한 가능성.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1년 PER 35.6배, 2022~2023년 적자 전환, 2024년 소폭 흑자 전환(예상 PER 34~61배)1.
- 원자재(원유·화학제품 등) 가격 변동, 판가 인상 지연.
- 경쟁 심화:
- 국내외 대형 농약사(경농, 팜한농 등)와의 경쟁, 저가 수입 농약 증가.
- 고객사 집중도:
- 대형 농협·조합 매출 비중 높음, 계약 변동 시 실적 영향.
- 환율·수출 변수:
- 수출 비중은 낮으나, 향후 확대 시 환율·글로벌 정책 변수 영향.
- 주가 변동성:
- 2024년 52주 최고 3,630원, 최저 2,020원, 최근 2,500~3,000원대 박스권.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20202021202220232024E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N/A |
35.6 |
N/A |
N/A |
34~61 |
20~30배 |
실적 부진, 밸류에이션 부담 |
PBR |
5.91 |
3.81 |
1.93 |
1.55 |
0.95 |
1.5~2.0 |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구간 |
ROE |
– |
– |
– |
– |
– |
5~10% |
최근 수익성 저하, 개선 필요 |
영업이익률 |
10%+ |
7%+ |
2~4% |
2~4% |
3~5% |
5~10% |
원가 부담, 수익성 하락 |
매출 성장률 |
10%+ |
5%+ |
–5% |
–3% |
0~5% |
5~10% |
성장 정체, 신제품 효과 관건 |
주가 |
21,650 |
17,500 |
8,250 |
5,820 |
3,630 |
– |
4년 연속 하락, 변동성 확대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농약·비료 매출 성장률
- 영업이익률·ROE 개선
- PER·PBR(저평가/고평가 여부)
- 신제품 출시·수출 확대 효과
- 원가·환율 등 외부 변수
- 대형 고객사 계약 변동
도표: 인바이오 최근 5년 실적 및 투자지표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
2020 |
– |
– |
– |
10%+ |
N/A |
5.91 |
– |
2021 |
– |
– |
– |
7%+ |
35.6 |
3.81 |
– |
2022 |
– |
– |
– |
2~4% |
N/A |
1.93 |
– |
2023 |
– |
14 |
– |
2~4% |
N/A |
1.55 |
– |
2024E |
– |
15~20 |
– |
3~5% |
34~61 |
0.95 |
– |
결론
인바이오는 친환경 농약·비료 시장에서 기술력과 전국 유통망을 바탕으로 안정적 시장을 확보하고 있으나,
최근 실적 부진, 원가 부담, 성장성 둔화, 경쟁 심화 등으로 단기 투자 매력은 제한적입니다.
PER 34~61배(고평가), PBR 0.95배(저평가), 영업이익률·ROE 하락 등 밸류에이션과 수익성 모두 개선이 필요합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변수는 농약·비료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ROE, 신제품 출시·수출 확대, PER·PBR, 대형 고객사 계약 변동, 원가·환율 등 외부 변수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정상화와 신제품 효과, 중장기적으로는 수출 확대와 신사업 매출화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것입니다.
태그
#인바이오 #친환경농약 #비료 #PER고평가 #PBR저평가 #영업이익률 #수익성개선 #매출성장 #ROE #실적부진 #원가부담 #경쟁심화 #신제품 #수출확대 #유기질비료 #복합비료 #농협 #조합 #시장점유율 #사업다각화 #석경이분석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기관매수 #외국인매수 #환율리스크 #고객사집중 #밸류에이션 #투자전략 #경영권안정 #지배구조 #사업포트폴리오 #성장정체 #실적정상화 #신사업 #OEM #PB제품 #정부정책 #농업트렌드 #환경규제 #유통망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