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이치(BH):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본문 바로가기
투자

비에이치(BH):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by 노력파 석경이 2025. 3. 15.
반응형

비에이치는 FPCB(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스마트폰 및 전기차 시장에서 핵심 부품을 공급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 폴더블 스마트폰 부품 공급 확대, 전기차 IT 부품 시장 진출을 통해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비에이치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4년 기준 비에이치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매출 비중(%)
스마트폰 FPCB 72.0
차량용 FPCB 18.0
무선충전 모듈 10.0
 
  • 스마트폰 FPCB는 전체 매출의 약 72%를 차지하며, 북미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차량용 FPCB는 전기차 시장 진출과 함께 매출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 무선충전 모듈은 비용 축소와 기술 고도화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스마트폰 FPCB

  • 스마트폰 FPCB는 북미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특히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상승과 추가 오더 발생으로 가동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매출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제품군 중심의 공급 전략이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차량용 FPCB

  • 차량용 FPCB는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테슬라와의 협력 및 기술 개발을 통해 전기차 IT 부품 공급을 확대하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매출원이 될 전망입니다.
  • 차량용 부품은 높은 기술 장벽으로 인해 경쟁사가 제한적이며, 이는 비에이치의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무선충전 모듈

  • 무선충전 모듈은 기존 비용 구조를 개선하며 수익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차량용 무선충전 모듈은 전기차 시장과 맞물려 성장 가능성이 크며,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매출 확대가 기대됩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최대주주인 김성환 대표는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기술 개발과 글로벌 진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다만 북미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1. 스마트폰 시장 둔화: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성장 둔화로 인해 일부 제품군의 출하량 감소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2. 원자재 가격 변동:
    • 구리 등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은 제조 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영업이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환율 변동성:
    • 북미 고객사와의 거래에서 환율 변동은 실적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인입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약 6.14배로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상태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0.67배로 자산 대비 낮게 평가되고 있어 투자 매력이 높습니다.

매출 성장률

  • 202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20% 증가한 1,910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폴더블 스마트폰 부품 공급 확대와 차량용 부품 매출 증가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약 140원으로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규 프로젝트 성과 가시화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결론: 비에이치 투자 포인트

비에이치는 스마트폰 및 전기차 IT 부품 제조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확대와 차량용 부품 공급 증가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다만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환율 리스크는 유의해야 할 요인입니다. PER 기준으로 저평가된 상태이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서 투자 매력이 높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비에이치, FPCB제조기업분석, 스마트폰부품시장성장성기업분석, 폴더블스마트폰부품공급기업분석, 테슬라협력부품기업분석, 차량용FPCB시장확장기업분석, PER저평가기업분석, PBR저평가기업분석, EPS흑자기업분석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