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하이텍: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본문 바로가기
투자

대성하이텍: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by 노력파 석경이 2025. 3. 29.
반응형

대성하이텍은 정밀부품, 스위스턴 자동선반, 그리고 컴팩트 머시닝 센터를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정밀기계 부품 및 공작기계 제조업체입니다. 1995년 설립되어 2022년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매출처는 반도체, 임플란트, 방산, 로봇, 폴더블폰 등 다양한 산업으로, 제품군과 매출처 다변화를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성하이텍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2년 기준 대성하이텍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매출 비중(%)
스위스턴 자동선반 53.9
정밀부품 27.0
컴팩트 머시닝 센터 17.5
기타 1.6
 
  • 스위스턴 자동선반은 전체 매출의 약 53.9%를 차지하며, 반도체 업황에 영향을 받는 주요 제품입니다.
  • 정밀부품은 매출 비중 약 27.0%로, 방산, 로봇, 폴더블폰 등 다양한 산업에 공급됩니다.
  • 컴팩트 머시닝 센터는 매출 비중 약 17.5%로, 소형 머시닝 센터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스위스턴 자동선반

  • 스위스턴 자동선반은 반도체 업황에 영향을 받으며, 2023년 매출 감소가 예상되었습니다. 그러나 2024년 반도체 업황 회복으로 인해 매출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1.
  • 특히, DRAM부터 업황이 개선되며 프로브 핀향 스위스턴 자동선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

정밀부품

  • 정밀부품은 방산, 로봇, 폴더블폰 등 다양한 산업에 공급되며, 특히 방산 부품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1.
  • 2024년 로봇 부품과 폴더블폰 힌지 매출이 개시되어 정밀부품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됩니다1.

컴팩트 머시닝 센터

  • 컴팩트 머시닝 센터는 미국 IRA에 따른 투자 확대 시 2차전지 관련 매출이 확대될 전망입니다1.
  • 2024년 컴팩트 머시닝 센터 매출은 전년 대비 약 4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2차전지 산업의 성장 덕분입니다4.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대성하이텍의 경영진은 연구개발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다만,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1.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2. 반도체 업황 변동성:
    • 스위스턴 자동선반 매출은 반도체 업황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업황 둔화 시 매출 감소가 예상됩니다.
  3. 신사업 리스크:
    • 방산 및 폴더블폰 부품 사업 확대는 초기 비용과 성공 여부에 따라 실적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적자로 인해 산정되지 않으며, 흑자 전환 시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2024년 PER은 약 17.2배로 전망되며, 이는 EPS 증가에 따른 결과입니다1.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1.2배로 자산 대비 적정 수준이며, 이는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1.

매출 성장률

  •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35.1% 감소한 833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반도체 업황 둔화 덕분입니다1.
  • 2024년 매출액은 약 1,18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반도체 업황 회복과 신규 매출 가세 덕분입니다1.

EPS(주당순이익)

  • EPS는 적자를 기록 중이나 2024년 흑자 전환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1.

결론: 대성하이텍 투자 포인트

대성하이텍은 스위스턴 자동선반과 정밀부품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와 방산 및 폴더블폰 부품 사업을 통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반도체 업황 회복과 신규 매출 가세가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사 의존도와 반도체 업황 변동성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재무 개선 이후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대성하이텍 #정밀부품시장확장 #스위스턴자동선반시장확장 #컴팩트머시닝센터시장확장 #방산부품시장확장 #폴더블폰힌지부품시장확장 #PER적정기업 #PBR적정기업 #반도체업황회복 #신사업리스크 #주가전망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