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리드위즈는 전력 수요관리(DR, Demand Response) 사업을 중심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EM),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태양광(PV)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에너지 플랫폼 기업입니다. 국내 DR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확장과 신사업 진출로 주목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그리드위즈를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 리스크 여부,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그리드위즈의 매출은 주로 DR 사업에서 발생하며, EM, ESS, PV 사업이 뒤를 잇고 있습니다:
사업 부문2023년 매출 비중2025년 예상 매출 비중주요 제품 및 서비스
DR (전력 수요관리) | 약 83.9% | 약 73.5% | 전력 감축 서비스, 정산금 기반 수익 창출 |
EM (전기차 충전 인프라) | 약 9.8% | 약 17.1% | 전기차 충전 모뎀 및 충전기, V2G 솔루션 |
ESS (에너지 저장 시스템) | 약 0.8% | 약 1.7% | ESS 설치 및 운영 |
PV (태양광) | 약 2.4% | 약 4.9% |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및 운영 |
2023년 기준 매출액은 약 1319억 원, 영업이익은 약 16억 원을 기록했으며, DR 사업이 대부분의 매출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DR (전력 수요관리)
- 시장 성장성: DR 시장은 안정적이나 성숙기에 접어들며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전력거래소(KPX)의 정산금 규모는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2022년 2428억 원 → 2023년 2397억 원).
- 경쟁 우위: 그리드위즈는 국내 DR 시장 점유율 47%로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제한 요소: 정산금 규모가 제한적이고 시장 성숙화로 인해 추가적인 성장 여력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EM (전기차 충전 인프라)
- 고성장 가능성: EM 사업은 연평균 성장률(CAGR) 77%를 기록하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사업 부문입니다.
- V2G 기술 개발: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Vehicle to Grid) 솔루션을 통해 전력망과 전기차 간 양방향 충·방전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확장: 미국과 유럽 등지에 생산 거점을 구축해 현지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ESS (에너지 저장 시스템)
- 시장 초기 단계: ESS는 아직 매출 비중이 낮으나, 가상발전소(VPP)와 연계한 서비스 확장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PV (태양광)
- 신규 매출원 확보: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및 운영 서비스를 통해 매출 다각화를 꾀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진출도 계획 중입니다.
3. 오너 리스크 여부
그리드위즈는 김구환 대표가 이끄는 안정적인 경영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리스크 요인이 존재합니다:
- DR 의존도: 매출의 약 84%가 DR 사업에서 발생하며, 이는 단일 사업 의존도가 높아 성장성에 제약을 줄 수 있습니다.
- 공모가 논란: PSR(주가매출액비율)을 기준으로 공모가를 산정하면서 고평가 논란이 제기되었습니다.
4. 기타 리스크
기술 변화
- V2G 및 VPP 기술 개발 속도가 느릴 경우 경쟁사 대비 시장 점유율 감소 위험이 존재합니다.
정책 리스크
- 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나 규제 강화로 인해 DR 및 EM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환율 변동
- 해외 시장 진출 확대와 관련하여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5.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PER (Price-to-Earnings Ratio)
- 현재 PER은 적자 상태로 산정이 어렵지만, 흑자 전환 이후 동종 업계 평균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 상승 여지가 기대됩니다.
PSR (Price-to-Sales Ratio)
- PSR 기준 공모가는 약 2.2배~2.5배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글로벌 동종 업계 평균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매출 성장률
- 2025년 예상 매출액은 약 1900억 원으로 연평균 성장률(CAGR) 약 26%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결론 및 투자 전략
그리드위즈는 국내 DR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EM 및 ESS 등 신사업 확장을 통해 중장기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 V2G 기술 개발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만 DR 사업 의존도와 공모가 고평가 논란 등 단기적 리스크를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태그
#그리드위즈 #DR사업 #전력수요관리 #V2G #EM사업 #ESS #태양광 #주식투자 #석경이 #사업전망 #PER #PSR #매출성장률 #영업이익률 #투자전략 #글로벌시장확대
참고 링크
- 그리드위즈 IR 자료: https://www.gridwiz.com
- 딜사이트 기사: https://dealsite.co.kr/articles/122587
- 인포스탁데일리 기사: https://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9615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브랜드(Nobland)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1) | 2025.02.17 |
---|---|
다원넥스뷰(32335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1) | 2025.02.17 |
라메디텍(46251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1) | 2025.02.16 |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0) | 2025.02.16 |
한중엔시에스(10764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