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넥스뷰(32335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본문 바로가기
투자

다원넥스뷰(32335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by 노력파 석경이 2025. 2. 17.
반응형

다원넥스뷰는 레이저 기반 반도체 공정 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는 기술특례 상장 기업으로, 2024년 코스닥 상장을 통해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특히 HBM(고대역폭 메모리) 관련 장비와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 강점을 보유하며, AI 및 반도체 시장 성장의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다원넥스뷰를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 리스크 여부,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다원넥스뷰의 매출은 크게 두 가지 주요 사업 부문에서 발생합니다:

사업 부문2024년 매출 비중2025년 예상 매출 비중주요 제품 및 서비스
반도체 장비 약 85% 약 88% pLSMB(프로브 카드 접합), sLSMB(솔더 범핑)
디스플레이 및 기타 장비 약 15% 약 12% dLSMB(디스플레이용 레이저 장비), 레이저 스크라이빙
 

2024년 기준 매출액은 약 187억 원으로 전년 대비 75.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3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반도체 장비 부문이 대부분의 매출을 차지하며, 디스플레이 및 기타 장비는 소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반도체 장비

  • 시장 성장성: 글로벌 HBM 시장은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연평균 15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다원넥스뷰는 HBM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레이저 접합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기술 경쟁력: pLSMB 제품은 프로브 카드 제조 공정에서 높은 정밀도를 제공하며, sLSMB는 첨단 패키징 공정에서 솔더 범핑 기술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고객사 확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대형 고객사뿐만 아니라 중국, 대만, 일본 시장으로 진출하며 글로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및 기타 장비

  • 신규 시장 진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 셀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dLSMB 장비를 개발하며 신재생에너지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기술 다각화: 레이저 스크라이빙과 같은 초정밀 가공 기술을 통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도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3. 오너 리스크 여부

다원넥스뷰는 남기중 대표가 이끄는 안정적인 경영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리스크 요인이 존재합니다:

  • 보호예수 해제: 상장 후 보호예수 물량 해제로 인해 주가 변동성이 클 가능성이 있습니다.
  • 지분 구조 변화: 스팩 합병으로 최대주주 지분율이 기존 52.67%에서 38.7%로 하락했으며, 이는 경영권 방어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리스크

기술 경쟁 심화

  •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ASML, AMAT 등 대형 기업들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기술 혁신 속도가 느릴 경우 시장 점유율 감소 위험이 존재합니다.

고객사 의존도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특정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계약 실패 시 실적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환율 변동

  • 해외 매출 비중 증가로 인해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5.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PER (Price-to-Earnings Ratio)

  • 현재 PER은 약 14배 수준으로 동종 업계 평균 대비 적정 수준입니다. 향후 HBM 수요 증가와 신규 고객 확보에 따라 밸류에이션 상승 여지가 기대됩니다.

매출 성장률

  • 2025년 예상 매출액은 약 2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1.7%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신규 설비 투자와 글로벌 확장의 결과입니다.

영업이익률

  •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와 비용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률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입니다. 2026년에는 약 15%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및 투자 전략

다원넥스뷰는 레이저 기반 반도체 공정 장비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HBM과 AI 시장 성장의 직접적인 수혜주로 평가됩니다. 특히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실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호예수 해제와 고객사 의존도 등 단기적 리스크를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태그

#다원넥스뷰 #HBM #반도체장비 #pLSMB #sLSMB #디스플레이장비 #레이저스크라이빙 #주식투자 #석경이 #사업전망 #PER #매출성장률 #영업이익률 #투자전략 #글로벌시장확대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