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오션플랜트: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본문 바로가기
투자

SK오션플랜트: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by 노력파 석경이 2025. 3. 18.
반응형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특수선 및 조선 블록, 후육강관 등을 제조하며, 친환경 에너지와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SK그룹의 자회사로서, 해상풍력 발전 설비와 특수선 건조를 중심으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K오션플랜트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4년 기준 SK오션플랜트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매출 비중(%)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36.0
특수선 및 조선 블록 46.0
후육강관 18.0
 
  •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은 전체 매출의 약 36%를 차지하며, 대만 Hai Long 프로젝트 등 글로벌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특수선 및 조선 블록은 매출 비중이 약 46%로 가장 크며, 방산선과 조선 블록 제작이 주요 매출원입니다.
  • 후육강관은 산업용 강관 제조로 구성되며, 매출 비중은 약 18%입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 SK오션플랜트는 대만 Hai Long 프로젝트에서 6,000억 원 규모의 수주를 기록하며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 경남 고성에 신야드(신규 조립 시설)를 건설 중이며, 완공 시 연간 최대 40기의 부유식 하부구조물을 생산할 수 있어 매출 증가가 기대됩니다.
  • 향후 대만 라운드3(15GW) 프로젝트와 유럽 해상풍력 시장 진출을 통해 추가적인 수주가 예상됩니다.

특수선 및 조선 블록

  • 특수선 부문은 방산용 선박(예: 호위함)과 상업용 선박 블록 제작을 포함하며,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 2025년부터 방산 프로젝트의 본격화와 함께 매출 비중이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 조선 블록 부문은 현대중공업과 같은 대형 조선사와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후육강관

  • 후육강관은 산업용 강관 제조로 구성되며, 국내외 건설 및 에너지 프로젝트에서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 다만, 후육강관 부문은 낮은 마진율로 인해 전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SK그룹 계열사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룹 차원의 지원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다만, 대규모 투자(신야드 건설 등)로 인해 재무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장기적인 자금 조달 계획이 중요합니다.

기타 리스크

  1. 대규모 투자 부담:
    • 신야드 건설 및 해상풍력 관련 설비 확장으로 인해 약 1조 원 규모의 CAPEX(자본적 지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차입금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2. 해상풍력 시장 의존도:
    • 해상풍력 부문의 신규 수주가 지연될 경우 실적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3. 환율 변동성:
    • 해외 매출 비중 확대와 맞물려 환율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약 15배로 업종 평균 대비 적정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1배로 자산 대비 적정 수준에서 평가됩니다.

매출 성장률

  • 2025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58% 증가한 1조 1,197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신야드 완공 이후 해상풍력 부문의 매출 확대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약 150원으로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규 프로젝트 성과 가시화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결론: SK오션플랜트 투자 포인트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과 특수선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신야드 완공 이후 해상풍력 부문의 성장 가능성과 특수선 부문의 방산 프로젝트 확대는 긍정적인 투자 요인입니다. 다만 대규모 투자 부담과 신규 수주 지연 가능성은 유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입니다. PER 기준으로 적정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태그

SK오션플랜트, 해상풍력하부구조물시장확장기업분석, 특수선시장확장기업분석, 후육강관시장확장기업분석, PER적정기업분석, PBR적정기업분석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