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SP는 반도체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특히 고압 수소 어닐링(HPA) 장비와 고압 산화 공정(HPO) 장비를 글로벌 파운드리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HPSP는 매출액이 급증하며 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HPSP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HPSP는 주로 반도체 장비를 통해 매출을 창출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HPA 장비와 HPO 장비가 주요 제품입니다. 매출 비중은 주로 반도체 장비 판매에서 발생하며, 2023년 기준으로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GENI-SYS)**가 전체 매출의 약 90.84%를 차지합니다2.
2. 각 사업의 전망
반도체 장비
- HPSP는 반도체 장비를 통해 글로벌 파운드리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에 공급하며, 특히 HPA 장비는 낮은 공정 온도에서 고압 및 고농도의 수소를 사용하여 2나노미터 이하 공정에 적합합니다.
- 2025년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7.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주요 파운드리 업체의 선단공정 투자 재개와 중화권 업체로의 고객사 다각화 덕분입니다1.
- 특히,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HPSP의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3.
고객사 다각화
- HPSP는 북미 고객사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매출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는 2024년 메모리 매출 비중이 59%로 증가한 데 기인합니다1.
- 중화권 업체로의 고객사 다각화가 기대되며, 이는 HPSP의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HPSP의 경영진은 연구개발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다만,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기술 변화 리스크:
- 반도체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며,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규제 변화 리스크:
- 반도체 관련 규제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약 39.37배로 제한적 이익 회복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 보입니다2.
- 그러나 2025년 영업이익 증가로 인해 PER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9.36배로 자산 대비 높은 수준이며, 이는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2.
매출 성장률
-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73.66% 증가한 1,593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반도체 장비 수요 증가 덕분입니다3.
- 2024년 매출액은 약 1,767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북미 고객사향 매출 증가 덕분입니다1.
- 2025년 매출액은 약 2,125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주요 파운드리 업체의 투자 재개와 고객사 다각화 덕분입니다1.
EPS(주당순이익)
- EPS는 2022년 약 2,500원에서 2024년 약 3,500원으로 증가하며, 2025년에는 약 4,500원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
결론: HPSP 투자 포인트
HPSP는 반도체 장비를 통해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특히 HPA 장비와 HPO 장비의 기술적 우위가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사 의존도와 시장 경쟁 심화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재무 개선 이후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HPSP #반도체장비시장확장 #고압수소어닐링 #고압산화공정 #PER적정기업 #PBR적정기업 #반도체장비 #파운드리 #메모리반도체 #고객사다각화 #메모리반도체향매출비중 #반도체기술변화 #시장경쟁심화 #규제변화리스크 #반도체장비수요증가 #고객사확대 #기술고도화 #신규장비개발 #하이브리드본딩
참고 링크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유씨피: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9 |
---|---|
선바이오: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9 |
KB스타리츠: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9 |
파인엠텍: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1) | 2025.03.25 |
핀텔: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