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9.
서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바이오시밀러(항체의약품 복제약)**와 항체신약 개발, 그리고 CMO(위탁생산) 사업을 영위하는 코스피 상장 바이오기업입니다. 최근 유럽 허가를 받은 바이오시밀러 ‘투즈뉴’의 라이선스 매출이 본격 반영되며 상장 후 첫 매출과 흑자전환을 기록했고,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의 임상 데이터 발표, 정부 바이오산업 지원 정책 등으로 투자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2025)영업이익 비중(2024~2025)주요 내용
바이오시밀러 |
80% 이상 |
85% 이상 |
투즈뉴(허셉틴 바이오시밀러), HD204(아바스틴 시밀러) 등 |
항체신약 |
10~15% |
10% |
PBP1510(췌장암 신약) 등 파이프라인 |
CMO(위탁생산) |
5~10% |
5% |
백신·항체의약품 위탁생산, CDMO 계열사와 시너지 |
- 특징: 2024~2025년 기준 바이오시밀러(특히 투즈뉴) 라이선스 매출이 실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항체신약 및 CMO 사업은 아직 매출 기여도가 낮으나, 중장기 성장동력으로 평가됩니다.
- 수익성: 2025년 반기 기준 매출 21억 원, 영업손실 54억 원(전년 동기 200억 적자 대비 대폭 축소), 순이익 321억 원(종속기업투자주식손상차손 환입 효과).
각 사업의 전망
1. 바이오시밀러(투즈뉴 등)
- 시장성:
- 유럽 허가 후 마일스톤(계약금 145억 중 17억 유입) 및 라이선스 매출 본격화.
- 향후 판매 개시 시 추가 마일스톤 및 로열티 수익 기대.
- HD204(아바스틴 시밀러), HD201(허셉틴 시밀러) 등 글로벌 임상 및 허가 진행 중.
- 경쟁력:
- 원가경쟁력(Non-Protein A, 대체원재료 등), 글로벌 파트너사(Teva, 먼디파마 등) 확보.
- 유럽·남미·아시아 등 다국가 진출.
- 전망:
- 2025~2027년 바이오시밀러 매출 급증, 수익성 개선 본격화.
2. 항체신약(췌장암 신약 PBP1510 등)
- 시장성:
- AACR 등 국제학회에서 임상 데이터 발표, 희귀의약품 지정.
- 췌장암 등 미충족 수요가 큰 시장에서 신약 가치 부각.
- 경쟁력:
- EMA 등 글로벌 규제기관과의 협력, 병용요법 등 파이프라인 확대.
- 전망:
- 2025~2026년 임상 2상 데이터 발표, 기술이전(L/O) 및 마일스톤 수익 기대.
3. CMO(위탁생산)
- 시장성:
- 백신·항체의약품 위탁생산, CDMO 계열사(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와의 시너지.
- 정부 바이오산업 지원 정책 수혜.
- 전망:
- 2025년 이후 글로벌 제약사와의 추가 수주, 외형 성장 기대.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창업주(박소연 대표) 중심 경영, 특수관계인 지분 30% 내외.
- 경영투명성: 최근 임원 리스크, 계약 문제 등 내부 경영 리스크가 주가에 부정적 영향.
- 리스크 요약: 내부 경영 안정성, 임직원 신뢰, 계약 이행력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상존.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3년까지 영업적자 지속, 2025년 반기 흑자전환(순이익 321억 원)은 일회성 손상환입 영향.
- 라이선스 매출, 마일스톤 등 비정기적 수익 구조로 분기별 실적 변동성 큼.
- 임상·허가 리스크:
- 신약 임상 실패, 허가 지연 시 주가 급락 가능성.
- 경쟁 심화:
-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등 국내외 대형사와의 경쟁.
- 환율·정책 변수:
- 글로벌 매출 비중 높아 환율 변동, 각국 정책 변화에 민감.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5.3~4)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N/A(적자) |
20~30배 |
실적 변동성, 일회성 요인 반영 |
PBR |
2.10배 |
1.5~2.0배 |
자산 대비 다소 고평가, 성장 기대 반영 |
ROE |
10~15%(일회성) |
5~10% |
손상환입 효과, 지속성은 미지수 |
영업이익률 |
-25~+10% |
10~20% |
라이선스·마일스톤 수익에 따라 변동성 큼 |
매출 성장률 |
+100% 이상(반기) |
20~30% |
첫 매출 발생, 성장 초기 구간 |
주가 |
13,630원(2025.3) |
- |
52주 최고 20,900원, 최저 7,610원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바이오시밀러(투즈뉴) 매출/마일스톤 유입
- 항체신약 임상 데이터 발표
- 경영진 리스크(계약 이슈, 임원 리스크 등)
- 외국인·기관 수급
- PBR(성장 기대감 반영)
- 실적 변동성(일회성 요인, 분기별 변동)
도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주요 재무지표(2022~2025E)
연도매출액(억)영업이익(억)순이익(억)영업이익률PERPBRROE
2022 |
0 |
-200 |
-200 |
- |
N/A |
3.4 |
-2.1% |
2023 |
0 |
-200 |
-200 |
- |
N/A |
1.9 |
-2.1% |
2024E |
21 |
-54 |
321 |
-257% |
N/A |
2.1 |
10~15% |
2025E |
100~200 |
-20~+20 |
50~100 |
-20~+10% |
N/A |
2.0 |
5~10% |
결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바이오시밀러(투즈뉴 등) 유럽 허가 및 매출 본격화, 항체신약 임상 데이터 발표, CMO 사업 확장 등으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입니다.
2025년 첫 매출 및 흑자전환(일회성 요인 포함), 외국인·기관 매수세, 정부 바이오산업 지원 정책 등 긍정적 모멘텀은 분명하지만,
내부 경영 리스크, 실적 변동성, 임상·허가 리스크, 경쟁 심화 등 단기적 위험도 큽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핵심 변수는 바이오시밀러 매출/마일스톤, 항체신약 임상 발표, 경영진 리스크, 외국인·기관 수급, PBR(성장 기대감)**입니다.
태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바이오시밀러 #투즈뉴 #허셉틴시밀러 #HD204 #항체신약 #PBP1510 #PER적자 #PBR고평가 #CMO #CDMO #임상데이터 #마일스톤 #라이선스매출 #외국인매수 #기관매수 #주가전망 #주가연관지표 #경영리스크 #임상리스크 #성장주 #정부정책 #실적변동성 #흑자전환 #유럽허가 #EMA #AACR #희귀의약품 #로열티 #분기실적 #경쟁심화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투자전략 #석경이분석 #바이오주 #주주가치 #성장모멘텀 #관리종목 #상장폐지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