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론
아이퀘스트는 중소기업 대상 SaaS형 ERP 솔루션을 주력으로 하는 IT 서비스 기업입니다. 2023년 매출 400억 원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영업이익률 하락과 경쟁 심화 등 도전과제도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투자 블로거 '석경이'의 분석을 바탕으로 아이퀘스트의 사업 구조, 성장 동력, 리스크 요소, 주가 핵심 지표를 심층적으로剖析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4년 기준)
사업 부문매출 비중영업이익 비중주요 제품/서비스
IT 컨설팅 용역 | 51% | 55% | ERP 구축, 시스템 통합 |
B2B 소프트웨어 | 39% | 35% | 얼마에요, 아이퀘스트B1 |
플랫폼 사업 | 10% | 10% | 얼마장부, 얼마싸인, 간편송금 |
- 특징: 전통적 IT 컨설팅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플랫폼 사업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 수익성: 2024년 4분기 영업이익률 8.4%로 전년 대비 7%p 하락, 플랫폼 사업 초기 투자 부담 영향.
각 사업의 전망
1. IT 컨설팅 용역
- 시장성: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수요 증가로 연평균 5% 성장 전망.
- 경쟁력: 20년 이상의 ERP 구축 노하우, LG CNS 등 대기업과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
- 리스크: 경쟁사 확대로 가격 경쟁 심화, 마진 압박 가능성.
2. B2B 소프트웨어
- 성장성: 클라우드 기반 얼마에요 매출 증가(2023년 33% 점유), 반복 과금 모델로 안정적 수익 창출.
- 전략: AI·블록체인 기술 접목으로 기능 고도화, 비영리 단체(NPO) 시장 진출.
3. 플랫폼 사업
- 신성장동력:
- 얼마장부: 410만 소상공인 대상 자산관리 앱, 2025년 사용자 50만 명 목표.
- 얼마싸인2.0: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 시장 점유율 확대 중.
- HR 솔루션: 2025년 상반기 출시 예정, 중소기업 인사관리 시장 공략.
- 전망: 플랫폼 사업 매출 비중 2025년 20% 달성 목표.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지배구조: 창업주 김순모 대표 중심 경영, 특수관계인 지분 30% 내외로 경영권 안정.
- 리스크: 오너 일가의 경영 개입 없음, 전문 경영진 체제로 투명성 우수.
기타 리스크
- 경쟁 심화: SAP·Oracle 등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 격차, 국내 중소기업 시장 경쟁 가열.
- R&D 부담: 매출의 15%를 R&D에 투자, 단기 수익성 압박.
- 고객 집중도: 중소기업 의존도 70% 이상, 경기 변동성에 취약.
- 신사업 불확실성: 플랫폼 사업 상용화 지연 가능성.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5.04)업종 평균특징
PER | 11.57배 | 10.97배 | 업종 평균 대비 소폭 고평가 |
PBR | 0.88배 | 2.52배 | 자산 대비 저평가 상태 |
ROE | 7.35% | -7.58% | 업종 내 상위권 수익성 |
영업이익률 | 8.41% | -7.01% | 안정적 수익 창출 구조 |
부채비율 | 14.85% | 106.01% | 업종 최저 수준 재무 안정성 |
주가 | 2,360원 | - | 52주 최고 4,350원, 최저 1,752원 |
- 주가 변동성: 2025년 4월 13일 단일 거래일 129% 급등(2,240→2,790원), AI 테마주 편입 기대감 반영.
- 핵심 관심사:
- 플랫폼 사업 매출 성장률
- AI·블록체인 기술 적용 효과
- 외국인·기관 매수세 추이
도표: 아이퀘스트 재무 현황 (단위: 억 원)
구분2023년2024년 4Q전년 대비 변화
매출액 | 400.8 | 406.4 | +1.4% |
영업이익 | 36.2 | 34.2 | -5.5% |
영업이익률 | 9.0% | 8.4% | -0.6%p |
순이익 | 37.3 | 42.9 | +15.0% |
R&D 투자 | 60.1 | 65.3 | +8.7% |
결론: 투자 포인트와 유의사항
긍정적 요인
- 플랫폼 사업 성장: 얼마장부·얼마싸인 등 신제품이 성장동력으로 부상.
- 재무 안정성: 부채비율 14.85%로 업종 최저, 유동성 리스크 낮음.
- 기술 혁신: AI·블록체인 접목으로 제품 경쟁력 강화.
부정적 요인
- 영업이익률 하락: R&D 투자 확대와 가격 경쟁으로 마진 압박.
- 시장 경쟁: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 극복 필요.
- 주가 변동성: AI 테마주 편입 시 일시적 과열 가능성.
투자 전략:
- 단기: 플랫폼 사업 실적 발표와 AI 테마 수혜 시 변동성 활용.
- 장기: 신사업 매출 기여도 확대와 해외 시장 진출 모니터링.
태그
#아이퀘스트 #ERP #SaaS #플랫폼사업 #얼마에요 #AI #블록체인 #PER #PBR #ROE #영업이익률 #부채비율 #주가전망 #석경이분석 #IT서비스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얼마장부 #얼마싸인 #R&D #경쟁리스크 #재무안정성 #테마주 #변동성 #기술혁신 #투자전략 #저평가주 #성장주 #매출구조 #소상공인 #HR솔루션 #알디스데이터 #기관매수 #외국인투자 #유동성 #포트폴리오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주식투자 분석 (1) | 2025.04.19 |
---|---|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주식투자 분석: 사업 구조, 전망, 리스크 평가 (1) | 2025.04.19 |
모비데이즈(363260) 주식투자 심층 분석: 사업 전망과 투자 포인트 (2) | 2025.04.19 |
피엔에이치테크(239890) 주식투자 분석 (1) | 2025.04.19 |
유일에너테크 주식투자 분석 (1)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