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이드는 에너지 IoT 솔루션을 중심으로 한 기술 기업으로, PLC 모뎀, LTE 모뎀, 스마트 가로등, 전기차 충전기 등 다양한 에너지 관리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력선 통신(PLC) 기술과 LTE 기반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장비를 통해 스마트 에너지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타이드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4년 기준 타이드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매출 비중(%)
제품 부문 (PLC/LTE 모뎀) | 49.4 |
상품 부문 | 37.4 |
기타 및 용역 부문 | 13.2 |
- 제품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49%를 차지하며, PLC 모뎀과 LTE 모뎀 등 에너지 IoT 장비가 주요 매출원입니다.
- 상품 부문은 매출 비중 약 37%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상품 판매에서 발생합니다.
- 기타 및 용역 부문은 매출 비중 약 13%로, 유지보수 서비스와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포함합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제품 부문 (PLC/LTE 모뎀)
- PLC 모뎀은 전력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미터와 AMI 인프라에 필수적인 장비로, 국내외 전력회사와 협력하여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LTE 모뎀은 공용 무선망을 사용하는 통신 장비로, 스마트 가로등과 하이패스 장비 등 다양한 IoT 응용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전기차 충전기 관련 하드웨어 개발도 진행 중이며, 이는 전기차 보급 확대와 맞물려 추가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상품 부문
- 상품 부문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패키지 판매에서 발생하며, 스마트 에너지 관리 솔루션과 연계되어 꾸준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신규 고객 확보와 함께 기존 고객사의 서비스 확장이 기대됩니다.
기타 및 용역 부문
- 유지보수 서비스와 맞춤형 솔루션 제공은 안정적인 매출원을 제공하며, 구독형 모델 도입을 통해 반복적인 수익 구조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와 함께 신규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경영진은 연구개발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으나, 상장 이후 지속적인 적자 구조로 인해 투자자 신뢰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에너지 IoT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재무 리스크:
- 최근 영업손실(2023년 기준 -63억 원)과 순손실(-17억 원)이 지속되며 회사의 재무 안정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 환율 변동성:
- 해외 매출 비중 확대와 맞물려 환율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적자로 인해 산정되지 않으며 흑자 전환 시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0.85배로 자산 대비 저평가 상태이며, 이는 안정적인 자본 구조를 반영합니다.
매출 성장률
- 2025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30% 증가한 185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신규 프로젝트 확대와 전기차 충전기 관련 제품 판매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적자를 기록 중이나 신규 프로젝트 성과 가시화 시 흑자 전환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결론: 타이드 투자 포인트
타이드는 PLC/LTE 기반 IoT 장비를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매출 구조와 전기차 충전기 등 신사업 확장을 통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AMI 인프라 구축과 스마트 에너지 관리 솔루션 도입 확대는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자 지속과 시장 경쟁 심화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재무 개선 이후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타이드, PLC모뎀시장확장기업분석, LTE모뎀시장확장기업분석, AMI인프라시장확장기업분석, 전기차충전기시장확장기업분석, PER적자기업분석, PBR저평가기업분석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젯: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3 |
---|---|
신스틸: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3 |
아이오바이오: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3 |
티이엠씨(TMC):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1) | 2025.03.23 |
옵티코어: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