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바이오다인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8.
서론
바이오다인은 액상세포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플랫폼을 중심으로 성장해온 체외진단 전문기업입니다. 2019년 글로벌 1위 진단기업 로슈(Roche)와 20년 단위의 독점판매·로열티 계약을 체결하며,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로열티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2년간 실적 부진과 적자 지속 등 단기 리스크가 있었으나, WHO(세계보건기구) 입찰자격 사전심사 통과, 로슈 진단키트의 글로벌 출시 등으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은 매우 강한 상황입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사업부문매출 비중(2024)영업이익 비중(2024)주요 내용
진단키트(자궁경부암 등) |
80% |
90% |
액상세포 기반 진단키트, 로슈 독점계약 |
진단장비 |
15% |
8% |
Cobas 등 글로벌 진단장비 OEM 공급 |
기타(서비스 등) |
5% |
2% |
시약, 부속품, 기타 서비스 등 |
- 특징: 진단키트(자궁경부암)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장비 및 서비스는 보조적 역할입니다.
- 수익성: 2023~2024년 영업적자 지속(2023년 -21억, 2024년 상반기 -7.3억)이었으나, 2025년부터 로열티 수익 본격화로 영업이익률이 급격히 개선될 전망입니다123.
각 사업의 전망
1. 자궁경부암 진단키트(글로벌 로열티)
- 시장성:
- 글로벌 자궁경부암 진단 시장은 연간 3억 명 검사(2030년 10억 명까지 확대 전망), WHO·글로벌 지원금 확대.
- 2030년 로슈 점유율 50% 가정 시 바이오다인 로열티 수익 900~1,200억 원 추정2.
- 경쟁력:
- 기존 독점기업 홀로직 대비 민감도(암 진단 정확도) 73%로 우위.
- 로슈와 20년 단위 독점판매·로열티 계약, 마일스톤 675만 달러 단계별 수령.
- WHO PQ(입찰자격 사전심사) 통과로 국제 입찰·공공조달 시장 진입.
- 전망:
- 2024년 4분기~2025년 1분기부터 로열티 매출 본격 반영, 2029년 피크 매출 914~2,000억 원(영업이익 1,500억 원) 추정23.
2. 진단장비(OEM)
- 시장성:
- 글로벌 진단장비 시장 연평균 8% 성장, Cobas 5800 등 로슈 신제품에 바이오다인 기술 적용.
- 전망:
- WHO·글로벌 기관 조달 확대, 장비 공급 후 시약·키트 반복 매출 구조.
3. 기타(서비스 등)
- 시장성:
- 자가채취 키트, STD·HPV 등 신제품 개발, 글로벌 파트너십 추진.
- 전망:
- 다국적사와 추가 파트너십 체결 시 추가 성장 모멘텀.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경영권/지배구조: 창업자 중심 경영, 특이한 오너리스크 이슈는 없으나, 글로벌 파트너(로슈) 의존도가 높음.
- 경영 투명성: 글로벌 계약·로열티 구조의 투명성, 추가 파트너십 확대 여부가 관건.
기타 리스크
- 실적 변동성:
- 2023년 매출 41억, 영업손실 21억, 순손실 10억.
- 2024년 상반기 매출 23억, 영업손실 7.3억, 순손실 0.5억으로 적자폭 축소2.
- 기관 매도세: 2025년 3월 기준 기관투자자 매도세 지속, 신용 증가 불안감, 주가 하락 압력1.
- 고평가 논란:
- PBR 9.01배(2025.3), EPS -34원(적자), 단기 고평가 구간1.
- 현금성 자산: 최근 3년간 260억 원 유지, 자금조달 우려는 낮음3.
- 시장 경쟁: 홀로직 등 글로벌 독점기업과의 경쟁, WHO·공공조달 시장 내 경쟁 심화.
- 신제품 상용화 리스크: 자가채취 키트 등 신제품의 상용화·파트너십 체결 불확실성.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5.3)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
N/A(적자) |
20~25배 |
2024년까지 적자, 2025년 흑자 전환 기대 |
PBR |
9.01배 |
2~4배 |
업종 평균 대비 고평가, 성장 프리미엄 반영 |
ROE |
-0.3% |
3~10% |
자기자본 효율성 저하, 2025년부터 개선 기대 |
영업이익률 |
-51.5%(2023)→50%+(2029E) |
10~30% |
로열티 매출 본격화 시 급격한 개선 전망 |
매출 성장률 |
4.8%(2024H1)→+300%+(2025~) |
10~20% |
로슈 진단키트 글로벌 출시 효과 |
주가 |
13,060원(2025.3) |
- |
52주 최고 24,200원, 최저 8,250원, 변동성 확대 |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 로슈 진단키트 글로벌 출시/로열티 수익
- 영업이익률·흑자전환 시점
- 기관·외국인 수급
- PBR(고평가 논란)
- 신제품 상용화/파트너십 확대
- WHO 등 글로벌 공공조달 시장 진입
도표: 바이오다인 사업별 매출/영업이익 비중(2024년 기준)
사업부문매출 비중영업이익 비중주요 제품/서비스
진단키트(자궁경부암 등) |
80% |
90% |
액상세포 진단키트, 로슈 독점계약 |
진단장비 |
15% |
8% |
Cobas 등 글로벌 장비 OEM |
기타(서비스 등) |
5% |
2% |
시약, 부속품, 서비스 등 |
결론
바이오다인은 로슈와의 독점계약, WHO PQ 통과, 글로벌 진단키트 출시 등으로 2025년부터 로열티 기반 매출 급증과 영업이익률 대폭 개선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부진, 기관 매도세, 고평가 논란 등 리스크가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자궁경부암 진단 시장 성장, 로열티 수익 본격화, 신제품 상용화가 주가의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
태그
#바이오다인 #로슈 #자궁경부암진단 #로열티수익 #PER적자 #PBR고평가 #영업이익률 #흑자전환 #WHO #글로벌진출 #기관매도 #신제품 #파트너십 #공공조달 #진단키트 #진단장비 #액상세포 #수익성개선 #성장주 #주가전망 #실적부진 #고평가논란 #현금흐름 #마일스톤 #OEM #신제품상용화 #시장경쟁 #공급계약 #매출성장 #주가연관지표 #기관수급 #외국인매수 #공공시장 #파트너십확대 #R&D #신사업 #적자축소 #성장모멘텀 #주가변동성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