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스템은 반도체 환경제어 시스템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태양광, 2차전지 등 다양한 산업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첨단 제조 기업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N₂ Purge System, Load Port Module(LPM), Plasma 세정 장비 등이 있으며, 반도체 공정에서 수율을 향상시키는 핵심 솔루션을 제공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저스템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4년 기준 저스템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매출 비중(%)
반도체 | 61.8 |
디스플레이 | 25.8 |
태양광 | 6.8 |
2차전지 | 4.0 |
기타 | 1.6 |
- 반도체는 전체 매출의 약 62%를 차지하며, N₂ Purge System과 LPM이 주요 제품입니다.
- 디스플레이는 매출 비중 약 26%로, OLED 제조 공정에서 수율을 개선하는 장비를 공급합니다.
- 태양광은 매출 비중 약 7%로, 플라즈마 표면 처리 장비를 중심으로 성장 중입니다.
- 2차전지는 매출 비중 약 4%로, 롤투롤 장비와 에이징 장비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반도체
- 반도체 공정에서 습도와 불순물을 제어하는 N₂ Purge System은 저스템의 핵심 제품으로, 글로벌 IDM(종합 반도체 기업)과 협력하여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근 마이크론과 협력하여 미국 생산 시설에 장비 공급 가능성이 열렸으며, 이는 해외 매출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차세대 습도 제어 솔루션(JFS 및 JEM1) 개발이 진행 중이며, 신규 고객사 확보와 함께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OLED 제조 공정에 필요한 고진공 장비와 습도 제어 솔루션을 공급하며 수율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주요 고객사와 협력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글로벌 OLED 시장 성장과 맞물려 추가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태양광
- 태양광 사업은 자회사 플람을 통해 플라즈마 표면 처리 기술을 활용한 장비를 공급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퍼스트솔라와 협력하여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으며, 신규 파일럿 라인 구축과 함께 매출 확대가 기대됩니다.
2차전지
- 롤투롤 장비 및 에이징 장비를 통해 전극 활성화 공정을 지원하며, 전기차 및 ESS 시장 성장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신규 고객사 확보와 함께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임영진 대표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출신으로, 약 30년간 반도체 업계에서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회사를 이끌고 있습니다.
- 그러나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환율 변동성:
- 해외 매출 비중 확대와 맞물려 환율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신사업 리스크:
- 태양광 및 2차전지 분야에서 초기 투자 비용과 상업화 성공 여부가 실적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약 15배로 업종 평균 대비 적정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1.8배로 자산 대비 적정 수준이며, 이는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매출 성장률
- 2025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20% 증가한 703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신규 공장 가동과 해외 시장 확장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약 308원으로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규 프로젝트 성과 가시화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결론: 저스템 투자 포인트
저스템은 반도체 환경제어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매출 구조와 디스플레이 및 태양광 사업 확장을 통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와 신규 제품 출시 계획은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사 의존도와 신사업 초기 비용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적정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저스템, N₂Purge시장확장기업분석, 디스플레이장비시장확장기업분석, 태양광표면처리시장확장기업분석, 롤투롤장비시장확장기업분석, PER적정기업분석, PBR적정기업분석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로스 에너지(Talos Energy):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5 |
---|---|
산돌: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1) | 2025.03.25 |
제이아이테크: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5 |
큐알티: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5 |
오에스피: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