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에스피: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본문 바로가기
투자

오에스피: 사업 분석과 투자 포인트

by 노력파 석경이 2025. 3. 25.
반응형

오에스피는 반려동물용 유기농 사료를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2004년 설립되어 2022년 기준으로 국내 펫푸드 ODM 1위 업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ODM 제품 자사브랜드(PB) 제품으로 나뉘며, 최근에는 반려동물 헬스케어 사업 진출을 추진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오에스피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2022년 기준 오에스피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 부문매출 비중(%)
ODM 제품 90.0
PB 제품 8.0
기타 2.0
 
  • ODM 제품은 전체 매출의 약 90%를 차지하며, 반려동물용 건식사료를 주로 생산합니다.
  • PB 제품은 매출 비중 약 8%로, 자사브랜드 '네츄럴시그니처'와 '인디고 바이오뉴트리션' 등이 포함됩니다.
  • 기타는 매출 비중 약 2%로, 소규모 용역 및 상품 판매에서 발생합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ODM 제품

  • ODM 제품은 오에스피의 핵심 사업으로, 안정적인 고객사 확보와 판가 인상으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 2023년 ODM 제품 매출은 약 17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기존 고객과의 장기 계약 확대와 신규 고객 확보 덕분입니다.
  • 1Q23에 목우촌, B.M스마일, 우성사료 등 3곳과 신규 계약을 체결하며 고객사를 20여개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PB 제품

  • PB 제품은 자사브랜드를 통해 B2C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2020년 '네츄럴시그니처'를 런칭한 이후 2022년 '인디고 바이오뉴트리션'과 2023년 '인디고 7'을 출시했습니다.
  • PB 제품 매출은 2023년 약 31억 원, 2024년 약 6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온/오프라인 영업망 확보와 브랜드 인지도 향상 덕분입니다.

헬스케어 사업

  • 오에스피는 반려동물 헬스케어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며, 이는 중장기적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다양한 컨텐츠 개발과 플랫폼 구축을 통해 반려동물 관련 신규사업을 준비 중입니다.

3.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강재구 대표는 연구개발 중심의 경영 전략을 추진하며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 특정 거래선의 수요 변화가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타 리스크

  1. 시장 경쟁 심화:
    • 국내 펫푸드 시장에서 경쟁사가 증가하며, 기술력과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2. 원재료 가격 변동성:
    • 원재료 가격 상승이 매출원가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환율 변동성:
    • 수출 비중이 낮지만, 환율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4.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2023년 PER은 약 26.8배로 제한적 이익 회복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 보입니다. 그러나 2024년에는 약 13.6배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이는 원재료 가격 하락, 판가 인상, PB 제품 성공적 안착으로 인한 마케팅비 축소 덕분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1.7배로 자산 대비 적정 수준이며, 이는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매출 성장률

  •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116% 증가한 364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ODM 및 PB 제품 매출 확대 덕분입니다.
  • 2024년 매출액은 약 430억 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지속적인 고객 확대와 브랜드 인지도 향상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2023년 EPS는 약 245원으로 전망되며, 2024년에는 약 482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오에스피 투자 포인트

오에스피는 ODM 제품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와 PB 제품을 통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자사브랜드 확대와 반려동물 헬스케어 사업 진출은 긍정적인 투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사 의존도와 원재료 가격 변동성 등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ER 기준으로 재무 개선 이후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브랜드 인지도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태그

오에스피, 펫푸드ODM시장확장기업분석, 자사브랜드시장확장기업분석, 반려동물헬스케어시장확장기업분석, PER적정기업분석, PBR적정기업분석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