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이텀은 평판형 트랜스 기술을 기반으로 전자기기 및 전기차 충전기용 트랜스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최근 코스닥 상장을 통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EV) 부품 시장 진출과 베트남 신공장을 통한 생산능력 확대로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투자 블로거 석경이의 관점에서 에이텀의 사업 구조, 성장 가능성, 리스크 요인, 그리고 주가와 관련된 주요 지표를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에이텀의 매출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부문에서 발생합니다:
- TA(휴대용 충전기) 트랜스
- 매출 비중: 약 36%
- 주요 내용: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고속 충전기용 트랜스.
- 특징: 15W~45W 제품군에서 독점적 공급망을 구축하며 안정적인 매출원 확보.
- TV 트랜스
- 매출 비중: 약 16%
- 주요 내용: TV 및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트랜스.
- 특징: 국내 대형 가전사와 협력하며 매출 기여.
- EV(전기차) 트랜스 및 MLCC 유통
- 매출 비중: 약 48% (MLCC 포함)
- 주요 내용: EV OBC(온보드 충전기), LDC(직류변환장치) 등 전기차용 트랜스 및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유통.
- 특징: EV 부문은 초기 단계로 향후 매출 비중 확대 예상.
2. 각 사업의 전망
TA(휴대용 충전기) 트랜스
- 에이텀은 15W~45W 제품군에서 독점적 공급망을 구축했으며, 고사양 제품(65W, 140W) 개발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스마트폰과 노트북의 고속 충전 수요 증가로 TA 트랜스 매출은 꾸준히 성장할 전망입니다.
TV 트랜스
- TV 및 가전제품 시장의 안정적인 수요를 기반으로 매출 기여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다만 시장 성장률 둔화로 인해 추가적인 성장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EV(전기차) 트랜스 및 MLCC 유통
- EV 부문은 OBC, LDC 등 핵심 부품을 개발 완료하고 국내외 완성차 업체와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2025년부터 본격적인 매출 발생이 예상됩니다.
- MLCC 유통은 기존 고객 기반을 활용해 안정적인 매출원을 제공하며, EV 부문과의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3. 오너 리스크 여부
에이텀은 한택수 대표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경영권 분쟁이나 오너 리스크와 관련된 특별한 이슈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상장 이후 유통 가능한 물량(18%)과 보호예수 해제 시점에서 주가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기타 리스크
실적 변동성
- 2024년 기준 영업손실은 약 14억 원으로 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초기 단계 신사업 투자와 원가 부담 증가 때문입니다.
시장 경쟁 심화
- 글로벌 EV 부품 시장에서 경쟁사들의 기술 개발과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어 점유율 확보가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경기 둔화는 비용 부담 증가와 수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버행 이슈
- 상장 이후 보호예수 해제 물량 증가로 인해 단기적인 주가 하락 압력이 존재합니다.
5.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에이텀의 주가는 다음 요인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EV 트랜스 매출 발생 시점: EV 부문의 매출 본격화는 회사 성장의 핵심 동력입니다.
- TA 트랜스 판매량 증가: 스마트폰 및 노트북 고속 충전 수요 증가는 안정적인 매출원 확보에 기여합니다.
- 베트남 신공장 가동률: 생산능력 확대와 비용 절감 효과는 수익성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보호예수 해제 시점: 상장 이후 유통 물량 증가로 인한 단기적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도표: 주요 사업별 매출 비중 (2024년 기준)
사업 부문매출 비중 (%)주요 성장 요인
TA(휴대용 충전기) 트랜스 | 36 | 고속 충전 수요 증가 |
TV 트랜스 | 16 | 안정적인 가전제품 시장 |
EV 트랜스 및 MLCC 유통 | 48 | EV 부문 본격화 및 MLCC 안정적 매출 |
결론 및 투자 전략
에이텀은 평판형 트랜스를 기반으로 TA, TV, EV 등 다양한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EV 부문의 본격적인 매출 발생과 베트남 신공장을 통한 생산능력 확대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실적 변동성과 보호예수 해제 등의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추천 전략:
- 중장기적으로 EV 부문 성장성과 생산능력 확대를 기대하며 분할 매수 접근.
- 단기적으로는 보호예수 해제 이후 주가 안정성을 확인한 후 추가 매수 검토.
태그
#에이텀 #평판형트랜스 #EV부품 #TA충전기 #MLCC유통 #코스닥상장 #투자전략 #사업분석 #매출성장 #오너리스크 #보호예수해제
참고 링크
- 에이텀 실적 분석 기사: https://www.dailyinvest.kr/news/articleView.html?idxno=59279
- 에이텀 베트남 신공장 관련 기사: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07885
- 에이텀 공모주 분석 기사: https://redhorseblog.co.kr/에이텀-공모주-분석-성장-전망-위험요소/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리소스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1) | 2025.03.03 |
---|---|
에이에스텍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0) | 2025.03.03 |
와이바이오로직스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1) | 2025.02.25 |
케이엔에스(KNS)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0) | 2025.02.25 |
LS머트리얼즈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2)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