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젠셀 주식투자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바이젠셀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2.
반응형

서론

바이젠셀은 면역세포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항암제, 면역억제제, 희귀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NK/T세포 림프종 치료제 VT-EBV-N과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VT-Tri(1)-A가 임상 단계에 있으며, 기술이전 및 상용화를 통해 매출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첨단재생의료법(첨생법) 수혜와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젠셀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면역세포치료제 연구개발

  • 매출 비중: 100%
  • 영업이익 비중: 적자 지속
  • 주요 파이프라인:
    • VT-EBV-N: NK/T세포 림프종 치료제 (임상 2상 진행 중)
    • VT-Tri(1)-A: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임상 1상 진행 중)
    • ViMedier: 면역억제 플랫폼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 특징: 매출 대부분이 연구용역 및 초기 기술이전 계약에서 발생하며, 아직 본격적인 제품 매출은 없는 상태.

각 사업의 전망

항암제 파이프라인 (VT-EBV-N, VT-Tri(1)-A)

  • 시장 성장성: 글로벌 항암제 시장은 연평균 12%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특히 희귀질환 및 면역항암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경쟁력 강화:
    • VT-EBV-N은 국내 임상 2상을 완료하고 유럽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으며, Early Access Program(EAP)을 통해 유럽 환자들에게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큼.
    • VT-Tri(1)-A는 국내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 코호트3에서 효능 관찰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신규 전략:
    • 조건부 품목허가를 통한 조기 상용화 추진.
    • 기술이전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 확대.

면역억제제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ViMedier)

  • 시장 성장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8%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GVHD(이식편대숙주질환)와 같은 난치성 질환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기술 고도화:
    • ViMedier 플랫폼은 제대혈 유래 골수성 억제세포(MDSC)를 기반으로 하며, 자가면역질환 및 이식 관련 질환에서 높은 효능을 보임.
    • IND(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목표로 기술 개발 중.

첨단재생의료 및 위탁생산(CDMO) 사업

  • 시장 성장성: 첨단재생의료법 시행으로 세포치료제 제조와 위탁개발생산(CDMO)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바이젠셀은 GMP센터를 활용해 신규 매출원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 전략적 변화:
    • 체외진단 의료기기 GMP 인증을 획득하여 진단시약 사업으로 확장.
    • 배체트병 및 강직성 척추염 진단시약 개발로 현금성 매출 확보.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바이젠셀은 최근 최대주주 변경(보령 → 가은글로벌)으로 경영권 변화가 발생했으며, 다음과 같은 리스크 요소가 존재합니다:

  1. 경영권 변화
    • 새로운 최대주주의 전략적 방향성이 회사 운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2. 지배구조 불확실성
    • 기존 경영진과 새로운 최대주주 간 의사결정 충돌 가능성.

기타 리스크

  1. 적자 지속
    • 연구개발비 증가로 인해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으며, 기술 상용화 전까지 재무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큼.
  2. 임상 실패
    •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 실패 시 기술 이전 및 상용화 일정에 차질 발생 가능.
  3. 환율 변동성
    • 해외 매출 확대 과정에서 환율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큼.

주가와 연관된 주요 지표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PER은 적자로 인해 산정되지 않으며, 흑자 전환 시 밸류에이션 재평가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약 0.95배로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상태입니다.

매출 성장률

  • 최근 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62억 원 증가했으며, 이는 초기 기술 이전 계약과 CDMO 사업 확장 덕분입니다.

EPS(주당순이익)

  • EPS는 적자를 기록 중이나 주요 파이프라인 성과 가시화 시 추가 상승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결론

바이젠셀은 면역세포치료제를 중심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되며,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확장과 첨생법 시행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적자 지속과 임상 실패 등의 리스크 요인을 유의해야 합니다. PBR 기준으로 저평가된 상태이며 장기적으로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확장을 기반으로 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태그

#바이젠셀 #면역세포치료제 #항암제 #ViTier #ViMedier #PER저평가 #PBR저평가 #매출증가 #EPS안정 #첨단재생의료법 #GMP센터 #NKTL림프종치료제 #글로벌시장진출 #희귀질환치료제

참고 링크

  1. 바이젠셀 IR 자료
  2. 바이오타임즈 기사
  3. FnGuide 기업 정보
  4. 히트뉴스 분석
  5. 알파스퀘어 종목 정보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렌탈 주식투자 분석  (1) 2025.04.12
아주스틸 주식투자 분석  (0) 2025.04.12
디앤디플랫폼리츠 주식투자 분석  (0) 2025.04.12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투자 분석  (0) 2025.04.12
라이콤 주식투자 분석  (0)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