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약물전달시스템(DDS) 기반의 혁신형 바이오 솔루션 기업으로, 내시경 지혈재와 혈관 색전 치료재 등 독창적인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코스닥 상장 이후 주목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을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 리스크 여부, 기타 리스크, 주가와 연관된 지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의 매출은 크게 두 가지 주요 제품군에서 발생합니다:
- 내시경 지혈재(Nexpowder™): 매출의 약 87.5%를 차지하며, 회사의 핵심 수익원입니다. 위장관 출혈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며,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혈관 색전 미립구(Nexsphere™): 약 12.4%의 매출 비중으로, 간암 및 자궁근종 치료에 사용됩니다. 최근 관절염 통증 완화용 색전 치료재인 Nexsphere-F™ 개발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액은 약 1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5% 증가했으며, 영업손실은 30억 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되었습니다.
2. 각 사업의 전망
내시경 지혈재(Nexpowder™)
- 시장 성장성: 글로벌 내시경 지혈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넥스파우더는 미국 FDA와 유럽 CE-MDR 인증을 획득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적응증 확대: 최근 FDA로부터 하부 위장관 출혈 예방 목적 사용 승인을 받아 새로운 시장(예방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이 시장 규모는 약 4조 원으로 추산됩니다.
혈관 색전 미립구(Nexsphere™)
- 신규 적응증 개발: Nexsphere-F™는 관절염 통증 완화 치료제로, 한국과 유럽에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미국 FDA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시장 확대: 기존 간암 및 자궁근종 치료 외에도 근골격계 통증 치료 시장으로 확장하며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3. 오너 리스크 여부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이돈행 대표가 최대주주(31.59%)로 안정적인 경영 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 보호예수 해제: 상장 후 보호예수 물량 해제로 인해 주가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지분 구조: 재무적 투자자(FI)의 지분 비중이 높아 추가적인 엑시트(투자금 회수) 가능성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기타 리스크
기술 경쟁 심화
- 경쟁사들이 유사한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넥스파우더와 Nexsphere의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적자 지속
- 연구개발비 증가로 인해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으며, 흑자 전환 시점은 2025년 이후로 예상됩니다.
해외 규제
-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인허가 절차가 지연될 경우 매출 반영 시점이 늦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5.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PER (Price-to-Earnings Ratio)
- 현재 적자 상태로 PER 산정이 어렵지만, 흑자 전환 이후 동종 업계 평균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이 기대됩니다.
매출 성장률
- 2025년 예상 매출액은 약 3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0%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넥스파우더의 글로벌 판매 확대 효과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영업이익률
- FDA 승인 이후 판관비 감소와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증가로 영업이익률은 2025년 약 38%, 2026년 약 52%까지 개선될 전망입니다.
결론 및 투자 전략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내시경 지혈재와 혈관 색전 미립구라는 독창적인 제품군을 통해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FDA 적응증 확대와 신규 제품 개발로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보호예수 해제와 기술 경쟁 심화 등 단기적 리스크를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태그
#넥스트바이오메디컬 #Nexpowder #Nexsphere #내시경지혈재 #혈관색전미립구 #FDA승인 #주식투자 #석경이 #사업전망 #PER #매출성장률 #영업이익률 #투자전략 #성장기업 #글로벌시장확대 #바이오솔루션기업 #고분자치료재 #DDS기술 #코스닥상장
참고 링크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진건설로봇(07990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0) | 2025.02.13 |
---|---|
케이쓰리아이(43119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0) | 2025.02.13 |
티디에스팜(46428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0) | 2025.02.12 |
M83(47608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0) | 2025.02.12 |
이엔셀(456070) 기업 분석: 석경이의 투자 관점에서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