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S단석은 바이오에너지, 배터리 리사이클링,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등 친환경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SAF(지속가능 항공유) 전처리 기술과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통해 글로벌 자원 순환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투자 블로거 석경이의 관점에서 DS단석의 사업 구조, 성장 가능성, 리스크 요인, 그리고 주가와 관련된 주요 지표를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DS단석의 매출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부문에서 발생합니다:
- 바이오에너지 (SAF 및 HVO)
- 매출 비중: 약 81.7%
- 주요 내용: SAF 전처리 및 수첨바이오디젤(HVO) 생산.
- 특징: 필립스66과의 대규모 계약(1조216억 원)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원 확보.
- 배터리 리사이클링
- 매출 비중: 약 18.3%
- 주요 내용: 폐리튬이온배터리에서 블랙 매스 추출 및 고순도 리튬 화합물 제조.
- 특징: 군산 공장 완공 후 2024년 2분기부터 매출 발생 예상.
-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 매출 비중: 약 9.7%
- 주요 내용: PCR(재활용 플라스틱) 생산 기술 개발 중.
- 특징: 순도 99% 이상의 고순도 플라스틱 선별 기술 확보 목표.
2. 각 사업의 전망
바이오에너지 (SAF 및 HVO)
- 글로벌 SAF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 27%로 급성장 중이며, DS단석은 필립스66과의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했습니다6.
- EU는 SAF 혼합비율 목표를 2025년 2%, 2030년 6%, 2050년까지 70%로 설정하며 시장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8.
- HVO(수첨바이오디젤)는 기존 디젤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으로, 한국 및 동남아 시장에서 수요 확대가 예상됩니다.
배터리 리사이클링
- 군산 공장은 연간 8000톤의 폐리튬이온배터리를 처리하고, 연간 5000톤의 블랙 매스를 추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습니다2.
- 블랙 매스를 활용해 코발트, 망간 등 배터리 소재를 회수하며 전구체 사업으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 PCR 플라스틱 기술 개발 성공 시 순도 99% 이상의 고순도 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으며, 이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2.
- 친환경 규제 강화와 플라스틱 재활용 의무화로 인해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3. 오너 리스크 여부
DS단석은 안정적인 경영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오너 리스크와 관련된 특별한 이슈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상장 이후 유통 가능한 물량(29%)과 보호예수 해제 시점에서 주가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5.
4. 기타 리스크
실적 악화
시장 경쟁 심화
- SAF 및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에서 경쟁사가 늘어나고 있으며, 기술력과 생산 효율성이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물류비 상승은 단기적으로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6.
오버행 이슈
- 상장 이후 보호예수 해제 물량 증가로 인해 단기적인 주가 하락 압력이 존재합니다5.
5.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DS단석의 주가는 다음 요인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SAF 계약 성과: 필립스66과의 계약 진행 상황과 추가 계약 여부.
- 군산 공장 가동률: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장의 가동률 상승 여부는 실적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2.
-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 SAF 및 배터리 재활용 의무화 정책 강화 여부.
- 원자재 가격 변동성: 바이오 원료와 금속 가격 변화가 회사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6.
도표: 주요 사업별 매출 비중 (2024년 기준)
사업 부문매출 비중 (%)주요 성장 요인
바이오에너지 | 81.7 | SAF 시장 성장 및 대규모 계약 확보 |
배터리 리사이클링 | 18.3 | 군산 공장 가동 및 전구체 사업 확장 |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 9.7 | PCR 기술 개발 및 친환경 규제 강화 |
결론 및 투자 전략
DS단석은 SAF와 배터리 리사이클링 등 친환경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 가능성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특히 필립스66과의 대규모 계약과 군산 공장의 가동은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실적 부진과 오버행 이슈를 고려해야 합니다.
추천 전략:
- 중장기적으로 SAF 시장 성장성과 배터리 재활용 사업 확장을 기대하며 분할 매수 접근.
- 단기적으로는 보호예수 해제 이후 주가 안정성을 확인한 후 추가 매수 검토.
태그
#DS단석 #SAF #배터리리사이클링 #플라스틱재활용 #친환경사업 #코스피상장 #투자전략 #사업분석 #매출성장 #오너리스크 #보호예수해제
참고 링크
- DS단석 실적 분석 기사: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5021414084384350
- DS단석 SAF 계약 관련 기사: https://seo.goover.ai/report/202412/go-public-report-ko-7a22fe6f-0d1c-45bb-a54c-38b0777b4332-0-0.html
- DS단석 군산 공장 가동 소식: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4624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엠텍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0) | 2025.02.25 |
---|---|
씨싸이트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0) | 2025.02.25 |
한빛레이저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0) | 2025.02.25 |
세븐브로이맥주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0) | 2025.02.25 |
우진엔텍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