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맥주 주식투자 분석
본문 바로가기
투자

제주맥주 주식투자 분석

by 노력파 석경이 2025. 4. 15.
반응형

서론

제주맥주는 국내 수제맥주 시장의 1호 상장사로, 한때 ‘수제맥주 열풍’의 중심에 있었으나 최근 몇 년간 실적 부진과 경영권 매각, 시장 트렌드 변화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자동차 부품업체 더블에이치엠이 경영권을 인수하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석경이’라는 투자 블로거의 관점에서 제주맥주의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각 사업의 전망,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그리고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를 심층 분석합니다.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맥주 제조 및 판매

  • 매출 비중: 95% 이상
  • 영업이익 비중: 100% (기타 사업은 미미)
  • 주요 제품: 제주위트에일(50%), 제주펠롱에일(23%), 제주슬라이스(8%), 콜라보 제품(19%)
  • 특징: 편의점(60%), 대형마트(20%), 펍(20%)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확보하고 있으나, 최근 편의점 중심의 판매 비중이 높아짐1.

기타(투어, MD 등)

  • 매출 비중: 5% 미만
  • 영업이익 비중: 미미
  • 특징: 제주맥주 양조장 투어, MD상품 등 부가사업은 매출 기여도가 낮음.

각 사업의 전망

맥주 제조 및 판매

  • 시장 성장성: 국내 수제맥주 시장은 2020년 1,180억 원에서 2023년 3,700억 원까지 연평균 46% 성장했으나, 최근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편의점 중심의 유통채널 경쟁이 심화되고, 신제품 출시와 마케팅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 악화가 이어지고 있습니다17.
  • 경쟁력 및 전략 변화:
    • 제품력: 제주위트에일 등 오리지널 라인업 중심으로 판매 강화. 논알콜, 프리미엄 한정판 등 고부가가치 상품 확대 시도7.
    • 유통: 5대 편의점, 4대 대형마트 입점 등 유통망은 업계 최고 수준이나, 최근 판매 부진으로 OEM(롯데칠성) 계약을 중단하고 자체 생산 체제로 전환7.
    • 신사업: 외식업 진출(달래에프앤비 인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현재 신사업 계획은 공백 상태7.
    • 콜라보레이션: 한때 ‘콜라보 맛집’으로 불렸으나, 최근 협업 제품 출시가 급감하며 브랜드 신선도 약화7.
  • 실적 전망: 2021년 매출 285억 원, 영업손실 72억 원 → 2022년 매출 234억 원, 영업손실 112억 원 → 2023년 매출 216억 원, 영업손실 95억 원으로 매출 감소와 적자 지속234567.

기타 사업

  • 시장성: 양조장 투어, MD상품 등은 코로나19 이후 회복세가 미미하며, 전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오너리스크 및 기타 리스크

오너리스크

  • 경영권 변경: 2025년 5월, 최대주주(문혁기 대표 및 가족) 지분이 더블에이치엠(자동차 부품업체)으로 매각23.
  • 경영 불확실성: 더블에이치엠은 주류와 무관한 기업으로, 경영 전문성 및 시너지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큼. 신규 경영진의 전략 변화, 구조조정, 브랜드 방향성 변화 등 불확실성 확대23.
  • 창업자 리스크 해소: 기존 오너(문혁기 대표)는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며, 과거 적자 경영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남2.

기타 리스크

  • 수제맥주 시장 침체: 코로나19 이후 ‘집콕’ 트렌드가 약화되고, 수제맥주 열풍이 꺼지면서 시장 성장세 둔화7.
  • 경쟁 심화: 편의점 중심의 유통채널에서 신제품 경쟁이 치열해지며, 마케팅 비용 부담이 커짐47.
  • 원가 부담: 원부자재(맥아, 홉 등) 가격 상승, 고정비 부담(인건비, 마케팅비 등)으로 수익성 악화4.
  • 신사업 실패: 외식업 진출(달래에프앤비 인수) 무산, 콜라보레이션 전략 약화 등으로 성장동력 부재7.
  • 재무구조: 부채비율 118%, PBR 1.56, ROE -52.4%, 영업이익률 -49% 등 재무지표 악화568.
  • 주가 하락: 상장 직후 5,000원대에서 2025년 4월 2,000원 내외로 하락, 시가총액 840억 원 수준235.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지표수치(2024~2025)업종 평균특징 및 해석
PER -3.1 ~ -4.7 20.4 적자 지속, 밸류에이션 불가58
PBR 1.56 ~ 3.85 0.77 업종 평균 대비 고평가, 자산가치 대비 주가 부담568
ROE -52.4% -0.35% 업종 내 최하위, 자기자본 잠식 우려58
영업이익률 -49% 2.46% 업종 내 최하위, 구조적 적자58
순이익률 -55% 0.28% 업종 내 최하위, 적자 지속58
부채비율 118% 108% 업종 평균보다 높음, 재무 부담58
매출액 182억 원(2024) 6,862억 업종 내 최하위, 성장 정체58
주가 2,000원 내외 - 상장가(3,200원) 대비 40% 이상 하락5
 
  •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 ROE, PBR, 경영권 변화(오너리스크), 시장 트렌드 변화.

제주맥주 사업별 매출/영업이익 비중 도표

사업부문매출 비중영업이익 비중주요 제품/서비스
맥주 제조/판매 95% 100% 제주위트에일, 펠롱에일 등
기타(투어, MD 등) 5% 미미 양조장 투어, MD상품
 

결론

제주맥주는 한때 수제맥주 시장의 선두주자였으나, 최근 시장 침체와 경쟁 심화, 원가 부담, 신사업 실패 등으로 실적 악화와 주가 하락을 겪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경영권이 더블에이치엠으로 넘어가며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지만, 신임 경영진의 전략과 시장 반응, 구조조정 효과, 브랜드 파워 회복 여부가 향후 주가와 실적의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는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 ROE, PBR, 오너리스크, 시장 트렌드 변화입니다.

태그

#제주맥주 #수제맥주 #PER적자 #PBR고평가 #ROE최하위 #영업이익률적자 #경영권변경 #오너리스크 #더블에이치엠 #시장침체 #유통채널경쟁 #OEM중단 #브랜드파워 #신사업실패 #콜라보약화 #재무구조악화 #부채비율상승 #매출감소 #주가하락 #상장1호 #수제맥주시장 #편의점판매 #자체생산 #외식업실패 #신사업공백 #트렌드변화 #구조조정 #비상경영 #적자지속 #주가연관지표 #매출성장률 #영업이익률 #ROE #PBR #시장트렌드 #경쟁심화 #원가부담 #신제품전략 #브랜드전략 #주주구성 #시가총액하락

참고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