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삼익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본문 바로가기
투자

스튜디오삼익 분석: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전망, 리스크, 주가와 연관 지표

by 노력파 석경이 2025. 2. 20.
반응형

스튜디오삼익은 온라인 홈퍼니싱 유통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으로, 삼익가구 브랜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 라인업과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코스닥 상장 이후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글에서는 투자 블로거 석경이의 관점에서 스튜디오삼익의 사업 구조, 성장 가능성, 리스크 요인, 그리고 주가와 관련된 주요 지표를 분석합니다.

1. 사업별 영업이익 비중

스튜디오삼익의 매출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풀필먼트 서비스
    • 매출 비중: 약 20%
    • 주요 내용: 삼익가구 및 스칸디아 브랜드 제품의 물류 및 배송 서비스 제공.
    • 특징: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과 소비 편의성을 통해 취소율 감소 및 매출 증가 효과.
  2. 침실·거실 가구 판매
    • 매출 비중: 약 71%
    • 주요 내용: 침실 가구(44.34%)와 거실 가구(27.18%) 판매가 핵심.
    • 특징: 삼익가구와 스칸디아 브랜드를 중심으로 대형 가구 제품군 판매.
  3. 기타 홈퍼니싱 제품
    • 매출 비중: 약 9%
    • 주요 내용: 소형 가구, 소품, 기능성 페브릭 제품 등.
    • 특징: 신규 브랜드 출시와 카테고리 확장을 통해 추가 매출 창출.

2. 각 사업의 전망

풀필먼트 서비스

  • 풀필먼트 채널은 국내 이커머스 시장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 스튜디오삼익은 쿠팡, 네이버, 오늘의집 등 주요 플랫폼과 협력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아마존과 협력 논의를 진행 중이며, 이는 장기적인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침실·거실 가구 판매

  • 침실 및 거실 가구는 현재 스튜디오삼익 매출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삼익가구와 스칸디아 브랜드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북유럽풍 프리미엄 원목가구 브랜드인 스칸디아는 전년 대비 40%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회사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타 홈퍼니싱 제품

  • 펫 관련 제품과 냉감이불 등 기능성 페브릭 제품 출시로 카테고리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고객 저변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신규 브랜드 ‘슬립스튜디오’는 침대 특화 제품군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오너 리스크 여부

스튜디오삼익은 최정석 대표가 설립한 기업으로, 현재 최 대표와 삼익티디에프 간의 지분 경쟁이 경영권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 대표의 지분율(24.14%)과 삼익티디에프 측 지분율(22.71%) 간 차이가 크지 않아 상장 후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만 의결권 공동행사 확약 등을 통해 경영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 기타 리스크

시장 경쟁 심화

  • 국내 이커머스 시장 내 경쟁 심화로 인해 외형 성장세 둔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삼성전자, 한샘 등 대형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광고·판촉비 증가

  • 신규 브랜드 출시와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해 단기적으로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가 변동성

  • 상장 이후 유통 가능한 물량(25.52%)과 보호예수 해제 시점에서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 공모 과정에서 기업가치 고평가 논란이 있었던 만큼 투자자 신뢰 회복이 필요합니다.

5. 주가와 가장 연관지어지는 지표

스튜디오삼익의 주가는 다음 요인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1. 풀필먼트 사업 성장률: 주요 플랫폼과의 협력 강화 및 글로벌 진출 여부.
  2. 브랜드 매출 성장률: 스칸디아 등 신규 브랜드의 실적 기여도.
  3. 영업이익률: 비용 효율화와 고마진 제품 판매 확대 여부.
  4. 경영권 안정성: 최정석 대표와 삼익티디에프 간 지분 경쟁 상황.
  5. 광고·판촉비 비중: 마케팅 비용 증가와 이에 따른 수익성 변화.

도표: 주요 사업별 매출 비중 (2024년 기준)

사업 부문매출 비중 (%)주요 성장 요인
풀필먼트 서비스 20 물류 효율화 및 글로벌 진출
침실·거실 가구 판매 71 삼익가구 및 스칸디아 브랜드 성장
기타 홈퍼니싱 제품 9 신규 카테고리 확장 및 고객 저변 확대
 

결론 및 투자 전략

스튜디오삼익은 온라인 홈퍼니싱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풀필먼트 서비스와 프리미엄 브랜드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다만 경영권 분쟁 가능성과 광고비 증가 등 단기적인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추천 전략:

  1. 중장기적으로 풀필먼트 서비스 확대와 신규 브랜드 성장을 기반으로 분할 매수 접근.
  2. 단기적으로는 보호예수 해제 이후 주가 안정성을 확인한 후 추가 매수 검토.

태그

#스튜디오삼익 #홈퍼니싱 #풀필먼트서비스 #삼익가구 #스칸디아 #슬립스튜디오 #온라인유통 #주식투자 #사업분석 #매출성장 #오너리스크 #경영권분쟁 #광고판촉비증가 #코스닥상장 #투자전략 #한국증시 #기업분석 #신규사업확장 #고부가가치제품

참고 링크

반응형